악성 기도 폐쇄에 대한 기관내 근접 조사 방사선치료의 단기 임상 경험

Short-term Results of Endobronchial Brachytherapy for Malignant Airway Obstructions

  • 안용찬 (삼성서울병원 치료방사선과) ;
  • 임도훈 (삼성서울병원 치료방사선과) ;
  • 최동락 (삼성서울병원 치료방사선과) ;
  • 김문경 (삼성서울병원 치료방사선과) ;
  • 김대용 (삼성서울병원 치료방사선과) ;
  • 허승재 (삼성서울병원 치료방사선과) ;
  • 김호중 (삼성서울병원 호흡기 내과) ;
  • 정만표 (삼성서울병원 호흡기 내과) ;
  • 권오정 (삼성서울병원 호흡기 내과) ;
  • 이종헌 (삼성서울병원 호흡기 내과)
  • Ahn Yong Chan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Samsung Medical Center, Seoul) ;
  • Lim Do Hoon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Samsung Medical Center, Seoul) ;
  • Choi Dong Rak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Samsung Medical Center, Seoul) ;
  • Kim Moon Kyung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Samsung Medical Center, Seoul) ;
  • Kim Dae Yong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Samsung Medical Center, Seoul) ;
  • Huh Seung Jae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Samsung Medical Center, Seoul) ;
  • Kim Ho Joong (Department of Pulmonology, Samsung Medical Center, Seoul) ;
  • Chung Man Pyo (Department of Pulmonology, Samsung Medical Center, Seoul) ;
  • Kwon O Jung (Department of Pulmonology, Samsung Medical Center, Seoul) ;
  • Rhee Chong Heon (Department of Pulmonology, Samsung Medical Center, Seoul)
  • 발행 : 1996.12.01

초록

목적 : 주요 기도의 악성 종양으로 인한 호흡기 증상은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때로는 환자의 생명을 위협할 정도로 위급한 경우가 있으며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 이러한 호흡기 증상의 완화를 위하여 적용한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한 고선량율 기관내 근접 조사 방사선차료의 단기 임상 관찰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12월부터 1996년 3월까지 원발성 또는 전이성 폐암으로 인한 기도폐쇄 와 이로 인한 주요 호흡기 증상이 있는 25명의 환자들에 대하여 고선량율 기관내 근접 조사 방사선치료를 시술하였다. 원발 병소는 비소세포성 폐암이 21례 ($84\%$), 원발성 기관암이 3례($12\%$), 재발된 식도암이 1례였다. 20명의 환자들에 대하여는 외부 조사 방사선치료를 병행하였으며, 급성 기도 폐쇄로 위급한 증상을 호소하였던 6명의 환자에 대하여는 응급 기관내 Laser 소작술을 먼저 시행하였다. 기관내 근접 조사 방사선치료는 모든 환자에서 각 3회씩 시행하도록 예정하였으며 모두 70회의 치료를 시행하였다. 결과 : 기관내 근접 조사 방사선치료의 전후로 조사한 주요 호흡기 증상은 기침, 호흡곤란, 각혈, 폐쇄성 폐렴이 각각 $88\%$ (22/25), $96\%$ (22/23), $100\%$ (15/15), $100\%$ (9/9)에서 호전되었으며, 환자의 일반 활동도 (ECOG performance score)는 전체 환자의 $56\%$에서 호전되었고 악화된 경우는 없었다. 관찰 기간 동안 15명이 사망하였으며 치료 개시로부터 사망까지 기간의 중앙값은 4개월 (범위: 1개월$\~$17개월) 이었고 10명의 생존자들의 생존 기간의 중앙값은 9개월 (범위: 5개월$\~$19개월)이었다. 치료 후 1년 이상 생존한 환자는 5명이었으며 이들 모두에선 원발 병소의 완전 관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사망자들은 모두 원발 및 전이 병소의 진행으로 인한 경우였다. 대량 각혈로 사망한 경우는 4명이었으며 이 중 3명은 응급 기관내 Laser 소작술을 선행하였던 경우였다. 결론 :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한 기관내 근접 조사 방사선 치료는 기도의 악성 병변시 호흡기 증상 및 환자의 활동도를 호전시키는 데 매우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다. 저자들의 관찰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기관내 근접 조사 방사선치료는 근치적 방사선치료의 국소 추가 방사선 조사의 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 Respiratory symptoms related with malignant airway disease have been the main causes of lowered qualify of life and also sometimes may be life-threatening if not properly managed. The authors report the short-term experiences of endobronchial brachytherapy for symptomatic malignant airway obstruction using high dose rate after-loading brachytherapy unit. Materials and Methdos : Twenty-five Patients with symptomatic malignant airway obstruction were treated with endobronchial brachytherapy between the period of December 1994 and March 1996 at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of Samsung Medical Center Twenty-one ($84\%$) were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three with tracheal malignancies, and one with recurrence of esophageal cancer. Twenty Patients were given elective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while six were given endobronchial laser evaporation therapy on emergency bases in addition to endobronchial brachytherapy. Three procedures for each patient were planned and total of 70 procedures were completed. Results : Improvement rates of major respiratory symptoms after endobronchial brachytherapy procedures were $88\%$(22/25). $96\%$(22/23), $100\%$ (15/15), and $100\%$(9/9) for cough, dyspnea, hemoptysis and obstructive pneumonia, respectively. ECOG performance scores were improved in $56\%$ of total patients group, while there was no case with worsened ECOG score. Fifteen patients died and the median interval from the start of treatment to death was 4 months (range: $1\~17$ months), while that of ten survivors was 9 months (range $5\~19$ months). There were five patients with controlled intrathoracic disease, who have survived over one rear. All deaths were associated with uncontrolled local and/or distant disease. Four Patients died of massive fatal hemoptysis, three of who received emergency endobronchial laser evaporation therapy before the start of endobronchial brachytherapy. Conclusion : Endobronchial brachytherapy has been confirmed as an excellent palliative treatment modality improving respiratory symptoms as well as patients' general performance status. Based on the current observations, use of endobronchial brachytherapy in curative setting as a boost technique may be warrant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