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Prognostic Factors in Glioblastoma Multiforme

다형성 교모세포증 환자의 예후인자 분석

  • Chang Sei Kyung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Yonsei Cancer Center) ;
  • Suh Chang Ok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Yonsei Cancer Center) ;
  • Lee Sang Wook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Yonsei Cancer Center) ;
  • Keum Ki Chang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Yonsei Cancer Center) ;
  • Kim Gwi Eon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Yonsei Cancer Center) ;
  • Kim Woo Cheol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Inh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장세경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연세암센터) ;
  • 서창옥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연세암센터) ;
  • 이상욱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연세암센터) ;
  • 금기창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연세암센터) ;
  • 김귀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연세암센터) ;
  • 김우철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Published : 1996.09.01

Abstract

Purpose : To find the more effective treatment methods that improving the survival of patients with glioblastoma multiforme(GBM), we analyze the prognostic factors and the outcome of therapy in patients with GBM. Materials and Methods : One hundred twently-one patients with a diagnosis of GBM treated at Severance Hospital between 1973 and 1993 were analyzed for survival with respect to patients characteristics, that is, duration of symptom, age, and Karnofsky performance status, as well as treatment related variables such as extent of surgery and radiotherapy. Results : The median survival time(MST) and 2-year overall survival rate (OSR) of the patients with GBM were 13 months and $20.8\%$, respectively. Duration of symptom, age, Karnofsky performance status(KPS), radiotherapy, and extent of surgical resection were associated with improved survial in a univariate analysis. Patients whose duration of symptom was longer than 3 months, had the 2-year OSR of $47.2\%$(p=0.0082), who were younger than age 50, $32.9\%$(p=0.0003) In patients with a KPS of 80 or higher, the 2-rear OSR was $36.9\%$(p=0.0422). Patients undergoing radiotherapy had the 2-year OSR of $22.9\%$(p=0.0030), and surgical resection of $23.3\%$ (p<0.000). A Cox regression model confirmed a significant correlation of duration of symptom, age, radiotherapy, and extent of surgical resection with survival, excluding KPS(P=0.8823). The 2-year OSR were $22.3\%$ and $19.4\%$, combined with chemotherapy or without, respectively(p=0.6028). The duration of symptom of 3 months or shorter, 50 years of age or older, and undergoing stereotactic biopsy only were considered as risk factors, then patients without any risk factors had the MST of 29 months and 2-year OSR of $53.9\%$ compared to 4 months and $0\%$ for Patients who had all 3 risk factors. Most of all treatment failures occurred in the primary tumor site($80.4\%$). Conclusion : The duration of symptom, age, radiotherapy, and extent of surgical resection were a prognostically significant indeuendent variables. To get a better survival, it seems to be reasonable that the study design which improves the local control rates is warranted.

목적 : 다형성 교모세포증 환자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와 치료성적을 분석하여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치료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73년 1월부터 1993년 12월까지 연세의료원에서 치료를 시행받은 다형성 교모세포증 환자 121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와 치료성적을 주된 증상의 발현 기간, 연령, 전신수행도 등의 임상특성과 수술적 절제 정도, 방사선치료여부 등의 치료와 관련된 요인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전체 환자의 정중 생존 기간은 13개월이었고 2년 전체 생존율은 $20.8\%$였다. 단일변량분석에서 의미있는 예후인자로는 주된 증상의 발현 기간, 연령, 전신수행도, 방사선치료여부, 수술적 절제 정도 등이었으며 이들 예후인자에 따른 2년 전체 생존율은 각각 주된 증상의 발현기간이 3개월을 초과한 경우에는 $47.2\%$(p=0.0082), 연령이 50세 미만인 경우에는 $32.9\%$(p=0.0003), 전신수행도가 80이상인 경우에는 $36.9\%$(p=0.0422),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경우에는 $22.9\%$(p=0.0030), 완전절제나 부분절제가 시행된 경우에는 $23.3\%$(p<0.000)이었고 다변량분석에서는 전신수행도를 제외한(p=0.8823) 주된 증상의 발현 기간, 연령, 방사선치료여부, 수술적 절제 정도 등이 의미있는 예후인자였다. 항암화학요법의 병용여부에 따른 2년 전체 생존을은 각각 $22.3\%$$19.4\%$이었다(p=0.6028). 주된 증상의 발현 기간이 3개월 이하인 경우와 연령이 50세 이상인 경우, 뇌정위적 생검만 시행된 경우를 위험인자로 보았을 때 위험인자가 없었던 환자군의 정중 생존 기간과 2년 전체 생존율은 각각 29개월과 $53.9\%$이었고 3개의 위험인자를 모두 가지고 있는 환자군의 정중 생존 기간과 2년 전체 생존율은 각각 4개월과 $0\%$이었다. 원발병소에서의 국소치료실패양상이 $86.4\%$(51/59)로 치료실패양상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결론 : 주된 증상의 발현 기간, 연령, 방사선치료여부, 수술적 절제 정도 등이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예후인자이었고 현재까지의 저조한 치료성적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국소제어율을 향상시키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