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lts of Conventional Radiotherapy in Oropharyngeal Cancer

구인두암의 방사선 치료 성적

  • Nam Taek Keun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
  • Ahn Sung Ja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
  • Chung Woong Ki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
  • Nah Byung Sik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 남택근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안성자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정웅기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나병식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Published : 1996.03.01

Abstract

Purpose: We tried to evaluate the role of conventional radiotherapy alone or with neoadjuvant chemotherapy in oropharyngeal cancer in terms of survival rates and to identify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survival by retrospective analysis. Materials and Methods: Forty seven patients of oropharyngeal cancer were treated by conventional radiotherapy in our hospital from Nov. 1985 to APr. 1993. Of these, twenty six patients were treated by conventional radio-therapy alone, and 21 patients with neoadjuvant chemotherapy of mostly two or more cycles of cisplatin and pepleomycin. The Patient characteristics of radiotherapy alone group and neoadjuvant chemotherapy group were not different generally. Radiotherapy was performed by 6MV-LINAC and the total radiation doses of Primary tumors were 54.0-79.2 Gy and cervical lymph nodes were 55.8-90.0 Gy with a fraction size of 1.8 or 2.0 Gy per day. The range of follow-up periods was 3-102 months and median was 20 months. The range of a9e was 33-79 years old and median was 58 years old. Results : Overall 3-year actuarial survival rate (3YSR) of all patients was $39\%$. The 3YSRS of stage I (n=5), II (n=11), III (n=12) and IV (n=19) were 60, 55, 33 and $32\%$, respectively The 3YSRS of Tl+2, T3+4 and No, N+ were 55, $18\%$ (p=0.005) and 43, $36\%$ (p>0.1),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3YSRS between radiotherapy alone group and neoadjuvant chemotherapy group (38 vs $43\%$, p>0.1). According to the original site of primary tumor, the 3YSRS of tonsil (n=32), base of tongue (n=8), soft palate or uvula (n=6) and pharyngeal wall (n=1) were 36 38, 67 and $0\%$, respectively The Patients of soft palate or uvular cancer had longer survival than other primarie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p>0.1). Of 32 patients of tonsillar cancer, 22 Patients who had primary extension to adjacent tissue showed inferior survival rate to the ones who had not Primary extension, but the difference was marginally significant statistically (24 vs $60\%$, p=0.08). On Cox multivariate analysis in entire patients with variables of age, T stage, N stage, total duration of radiotherapy, the site of primary tumor and the use of neoadjuvant chemotherapy, only T stage was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affecting 3YSR. Conclusion : The difference of 3YASRS of conventional radiotherapy alone group and neoadjuvant chemotherapy group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se treatments could be effective in oropharyngeal cancer of early stage, especially such as soft palate, uvular or tonsillar cancer which did not extend to adjacent tissue. But in order to improve the survival of patients of most advanced oropharyngeal cancer, other altered fractionated radiotherapy such as hyperfractionation rather than conventional fractionation or multi-modal approach combining radiotherapy and accessible surgery or concurrent chemotherapy might be beneficial.

목적 : 통상적인 외부 방사선 단독 치료 또는 유도 화학 병용요법으로 치료한 구인두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생존율과 예후 인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이들 치료방법의 역할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5년 11월부터 1993년 4월까지 구인두암으로 근치적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47명의 환자들 중, 26명은 통상적인 외부 방사선 치료만을, 나머지 21명은 유도 화학요법을 시행하였고 화학요법의 약제는 대부분 Cisplatin과 Pepleomycin으로 2회 시행하였으며, 방사선 단독 치료군과 유도 화학 병용요법군간의 환자 특성은 대체로 유사하였다. 방사선 치료는 6MV-LINAC으로 1일 선량 1.8-2.0 Gy씩 원발병소에는 54.0-79.2 Gy까지, 경부 임파절 병소에는 병소의 크기에 따라 55.8-90.0 Gy까지 조사하였다. 추적 기간은 3개월에서 102개월로 중앙값은 20개월이었고, 연령 분포는 33세에서 79세로 중앙값은 58세였다. 결과 : 전체 환자의 3년 생존율은 $39\%$였고, AJCC에 의한 병기별 3년 생존율은 I기 (n=5), II기 (n=11), III기 (n=12), IV기 (n=19)에서 각각 60, 55, 33, $32\%$이었다. 원발병소와 경부 임파절 병소의 병기별 3년 생존율은 T1+2, T3+4와 No, N+에서 각각 55, $18\%$ (p=0.005)와 43, $36\%$ (p>0.1)이었다. 방사선 단독 치료군과 유도 화학 병용요법군의 3년 생존율은 각각 38, $43\%$이었으나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 원발병소 부위별 3년 생존율은 편도암(n=32), 설근암(n=8), 연구개 및 구개수암(n=6), 인두벽암(n=1)에서 각각 36, 38, 67, $0=%$이었으나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 편도암 환자 32명 중, 22명은 주위 조직으로 침습이 있었고 그렇지 않은 군(10명)과의 3년 생존을은 24 대 $60\%$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p=0.08). 전체 환자에 대하여 원발병소 부위, 원발병소의 병기, 경부 임파절 병소의 병기, 방사선 치료 기간, 나이, 유도 화학요법 사용 유무 등에 대한 다요인 분석에서 원발병소의 병기만이 유의한 예후 인자였다. 결론 : 통상적인 외부 방사선 단독 치료군과 유도 화학 병용요법군간의 3년 생존율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이와 같은 치료방법으로 구인두암의 조기 병변, 특히 연구개암과 구개수암, 또는 주위 조직으로 침습이 없는 편도암에서 근치적 효과를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진행된 병기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통상적인 방사선 치료나 유도 화학요법 대신 다분할 조사 또는 가능한 수술적 방법의 추가나 동시적 화학 방사선 병용요법 등 보다 적극적이고 다면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