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rmination of formaldehyde residue and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 in formalin and neutral-formalin treated Korean rockfish(Sebastes schlegeli)

포르말린과 중성포르말린 약욕한 어류의 Formaldehyde 잔존량 측정과 병리학적 관찰

  • Cho, Jae-Kwon (Department of Aquaculture, Yosu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
  • Yang, Han-Choon (Department of Aquaculture, Yosu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 조재권 (여수수산대학교 양식학과) ;
  • 양한춘 (여수수산대학교 양식학과)
  • Published : 1996.12.30

Abstract

In this study, Residue of formaldehyde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formalin and neutralformalin in treated fish(Sebastes schlegeli) were observed at two different temperatures(15 and $25^{\circ}C$). Immediately after in treatment, residue of formaldehyde in formalin treated fish was show little bit higher than in neutral-formalin treated fish at $15^{\circ}C$. But, there is no difference at water temperature $25^{\circ}C$. The elimination of formaldehyde was markedly temperature-dependent. The approximated withdrawal time were 72hr and 24hr at water temperature 15 and $25^{\circ}C$. Formalin was more toxic than the neutral-formalin at the same condition. Intensity of tissues damage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chemical and temperature. Formalin and neutral-formalin treatments caused edema and seperation of epithelium, winding of secondary gill lamella, necrosis in the gill ; congestion and pycnosis, vacuolation in the liver ; hydropic and granulated degeneration, necrosis of epithelial cells in the proximal renal tubule ; increasing mucus cells, cracking, necrosis of epidermis and dermis in the skin tissue.

이 실험에서는 조피볼락을 대상으로 중성 formalin과 formalin으로 약욕하여 잔존량과 잔존기간 및 병리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고 온도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formalin 과 중성 formalin의 잔존량은 $15^{\circ}C$일 때 약욕 직후 약간의 차이를 제외하고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잔존기간은 수온 $15^{\circ}C$$25^{\circ}C$은 조건에서 각각 72 hr과 24 hr으로 온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체에 미치는 독성은 중성 formalin보다 formalin이 강하게 나타나고 수온과 농도가 증가 할수록 조직에 미치는 영향이 심해졌다. formalin 약욕으로 인하여 아가미 조직에서는 부종과 상피세포의 박리, 뒤틀림, 괴사증상이 그리고 간에서는 부종과 핵농축, 공포화 현상이 나타나고 신장에서는 수증성 퇴행적 병변과 세뇨관 상피세포의 과립화 중상, 괴사가 일어나고 피부에서는 점액 세포의 증가와 표피의 괴사 및 피하조직과 진피층의 균열이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