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QSCC II (Questionnaire for the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II)

사상체질분류검사지(四象體質分類檢査紙)(QSCC)II의 표준화(標準化) 연구(硏究) - 각 체질집단의 군집별(群集別) Profile 분석을 중심으로 -

  • 김선호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과) ;
  • 고병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과) ;
  • 송일병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과)
  • Published : 1996.10.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standardize the four scales of Questionnaire for the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II (QSCCII). QSCCII is newly prepared by statistical item analysis and is designed to examine its diagnostic discriminability. QSCCII is administered to 1366 random informants. From the survey, we could get the data for the standardization. The criteria of standardization are based on the data from 265 informants who are examined by professionals. Collectted data are analyzed by internal consistency, variation analysis(ANOVA), Duncan test and discrimination analysis of SPSS PC+ V4.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reliability of four scales for QSCCII is relatively valid.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ae-yang(太陽) (太陽) scale is Cronbach's a=0.5708. That of So-yang(少陽) scale is a=0.5708. That of Tae-eum(太陰) scale is a =0.5922. That of So-eum(少陰) scale is a=0.6319. 2.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 through variation analysis of four scales. 3. The process of standardization is based on the average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with respect to age and sex difference of each criteria 4. This study suggests a source of standardization of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by providing norms in which the differences of age, sex, and number of items are taken into deep consideration. QSCC Ⅱ, therefore, can be applied to every age(the 10's to the 60's) and sex groups. 5. The recalculation of the raw-score to standard value (T-score) shows that the diagnostic discriminability (Hit-ratio: 70.08%) of QSCC Ⅱ brings about 37% improvement than proportional chance criteria (33.33%). Especially, Hit-ratios of Tae-eum In(74.5%) and So-eum In(70.8%) are higher than that of So-yang In(60.0%). 6. QSCC has discriminability only to male informants. Compared with QSCC, however, QSCC II has relatively efficient discriminability both to male and female informants. 7. These results would be a demonstration of the fact that the QSCC II could be used as a tool for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통계적 문항 분석을 통하여 새로 개발된 사상체질분류검사지(QSCC)II의 네가지 척도를 각 계층별로 표준화하여 그 진단 정확율을 알아 봄으로써 객관적인 사상 체질 분류의 검사 방법을 만드는데 있다. 사상체질분류검사지(QSCC)II는 전국에서 각 계층별(연령, 성별, 생활 수준별)로 고르게 수집된 136명의 피검자의 답안을 표준화 자료로 삼았다. 진단 정확율을 알아보기 위한 준거 집단으로는 경희대학교 한방병원 사상의학과 외래 환자 및 동서건진센타 내원객 2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C + v. 4.0 Program으로 내적 일치도, 변량 분석(ANOVA), 사후검정(Duncan test) 및 판별분석을 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체질 별 척도의 내적 일치도는 0.5708 - 0.6319로서 설문지 구성에 체격과 체형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이 추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2. 검사지의 각 척도는 변양분석 결과 체질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므로 검사지의 문항은 진단변별력이 인정되는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3. 검사지의 응답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변인 가운데 연령 성별 그리고 문항수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변인을 고려한 규준(Norms)을 표준화 자료로 제시 하므로써 검사지에 의한 체질진단의 객관적 지표를 마련하였다. 5. 검사지는 연령과 성별에 관계없이 고르게 적용시킬 수 있다. 6. 검사지에서 새로 구성된 척도들로 판별분석을 한 결과 평균 판별정확율은 70.08%였다. 이 결과는 QSCC의 타당화 연구에서 보인 평균 판별정확율 55.56%에 비하면 비교적 높은 분류정확율을 보이는 것이라고 사료된다. 7. 검사지의 네 가지 척도들은 이전의 검사지에 비하여 고르게 체질진단에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8. 검사지는 분석결과 이전의 검사지들 보다 사상체질 진단에서 정확율 향상, 차별화된 계층별 체질 진단 방법의 제시에 의한 객관성 확보 등의 문제점을 개선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새로 개발되어 표준화된 QSCCII는 다소의 제한은 있으나 임상 상담 및 실험연구에서 체질 진단을 할 때 객관적인 체질진단 도구로서 이용 가치가 인정되며 사상체질분류의 객관적 기준으로서도 그 가치가 인정된다.

Keywords

References

  1. MBTI 開發과 活用 Isabel Briggs Myers;Mary H. McCaulley
  2. Advanced Statistics Marija J. Norusis
  3. SPSS/PC Marija J. Norusis
  4. 大韓韓醫學會誌 v.14 no.2 四象體質別 性格要因分析에 關한 硏究 高炳熙
  5. 大韓韓醫學會誌 no.9 四象體質辨證에 對한 小考 高炳熙;宋一炳
  6. 大韓韓醫學會誌 no.13 四象體質辨證 方法論 硏究 高炳熙;宋一炳
  7. 醫林 no.97 四象鑑別法에 對하여 權英植
  8. 大韓韓醫學會報 no.2 四象體質鑑別法과 經驗方公開 金文星
  9. 慶熙大學敎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四象體質分類檢査(QSCC)의 妥當化硏究 金善豪
  10. 慶熙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體質鑑別을 위한 專門家 시스템의 知識베이스 構築에 관한 硏究 金樹凡
  11. 靑神健康硏究 v.9集 Luria-Nebraska 神經心理檢査의 韓國版 標準化 硏究II 김재환 등
  12. 心理檢査論 김완석;손명자
  13. 生藥과 韓醫藥 v.30 no.31 四象鑑別과 體質鍼 羅基成
  14. 醫林 no.147 四象頭部觸診法 朴奭彦
  15. 火曜韓方 no.1 四象鑑別에 對한 小論 朴寅商
  16. 科學敎育 v.208 no.209 四象體質鑑別論 卞柱然
  17. 慶熙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四象醫學 體質鑑別에 關한 硏究 成守慶
  18. 性格要因檢査-實施要綱과 解析 方法 廉泰鎬;金正圭
  19. 慶凞大學校 大學院 碩士 學位論文 東醫壽世保元에서 본 四象人 體質鑑別法 硏究 吳世貞
  20. SPSS/PC+를 이용한 多變量分析 이영준
  21. 慶熙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四象辨證內容 設問調査紙(I)의 妥當化 硏究 李義柱
  22. 慶熙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四象體質分類檢査의 準據妥當化 硏究:性格要因檢査(16PF)와의 比較分析 李廷燦
  23. 東醫壽世保元 李濟馬
  24. 慶熙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四象體質分類檢査(QSCC) 評價方法의 妥當化 硏究 章世圭
  25. 醫林 no.151 四象體質鑑別에 對한 客觀的硏究 鄭成忠
  26. 第一回國際四象醫學 學術大會 論文集 四象體質分類 檢査의 準據妥當化 硏究-性格要因(16PF) , 性格類型檢査 (MBTI)와의 比較分析- 趙鏞台
  27. SPSS/PC+를 利用한 統計分析 채서일 등
  28. 慶熙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QSCC의 컴퓨터 프로그램化 硏究 河萬秀
  29. 東洋醫學 no.5 四象體質鑑別의 槪要 韓熙錫
  30. 火曜韓方 no.3 내가보는 鑑別法 韓熙錫
  31. 醫林 no.49 내가보는 四象鑑別法 韓熙錫
  32. 慶熙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四象人의 形態學的 圖式化에 關한 硏究 許萬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