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식품과학회지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제28권1호
- /
- Pages.44-52
- /
- 1996
- /
- 0367-6293(pISSN)
취반미의 관능적 특성에 따른 쌀의 분류 및 쌀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Classification of Rices on the Basis of Sensory Properties of Cooked Rices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Starches
- 장경아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신명곤 (중경산업대학교 식품과학과) ;
- 홍성희 (농산물가공기술연구소) ;
- 민봉기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 김광옥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Jang, Kyung-Ah (Department of Foods and Nutrition, Ewha Womans University) ;
- Shin, Myung-Gon (Department of Food Science, Joongkyoung Sanup University) ;
- Hong, Sung-Hee (Institute for Agricultural Food Technology) ;
- Min, Bong-Ki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
- Kim, Kwang-Ok (Department of Foods and Nutrition, Ewha Womans University)
- 발행 : 1996.02.28
초록
산지 및 품종별 특성 평가 결과 촉촉한 정도(MO), 응집성(CO), 부착성(AD) 및 경도(FI)와 같은 여러 특성들에 있어 시료간에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어 취반미의 관능적 특성은 품종과 재배환경에 의해 크게 영향 받음을 알 수 있었다. 촉촉한 정도(MO), 응집성(CO) 및 부착성(AD)은 서로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경도(FI)는 이들 특성과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60종류 쌀전분 시료는 주성분 분석과 군집분석을 통해 관능적 특성중 주로 텍스처 특성에 의해 다음과 같이 4 품질군으로 나뉘어졌다. 품질군 I은 응집성(CO), 부착성(AD) 및 촉촉한 정도(MO)에 있어서는 높은 값을 나타내고 경도(FI)에 있어서는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반대로 품질군 IV는 응집성(CO), 부착성(AD) 및 촉촉한 정도(MO)에 있어서는 낮은 값을 나타내고 경도(FI)에 있어서는 높은 값을 나타냈다. 4군에서 선택된 4종류 쌀 전분의 이화학적 및 분자 구조적 특성에 있어서도 청가, 아밀로그램 특성 및 평균 중합도 등에 있어 시료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여주었다.
Sensory properties of cooked rice were affected by the varieties and growing environments of the rice. Moistness, cohesiveness, and adhesiveness of cooked rice were highly and positively correlated each other, whereas firmn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se attributes. Sixty rice samples which differed in varieties and/or growing environme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ir textural properties throug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Quality type I showed the highest values for moistness, cohesiveness, and adhesiveness, and the lowest values for firmness of cooked rice. On the other hand, quality type IV showed just the opposite valu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rice starches in amylose content (P<0.05). A17 (type III) and A09 (type IV) had higher blue values for starch and amylopectin than the other samples (type I and II). On the amylogram, these samples showed lower values for breakdown and higher values for setback than the other samples.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average chain length, and average number of chains for amylose and amylopectin were 597-878 and 2660-3140, 140-230 and 17-19, and 3.1-4.9 and 140-170,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