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pretation of Bronchodilator Response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Airway Disease

폐쇄성 기도 질환자에서 기관지 확장제 반응에 대한 평가

  • Choi, Hee-Ji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Ki-Bu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o, Young-Boc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o, Ihn-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ung, Jin-H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Kwan-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Hyun-W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최희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기범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조영복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조인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진홍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관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현우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5.06.30

Abstract

Background: Measurement of bronchodilator response is necessary to establish reversibility of airflow obstruction that was helpful to estimate the diagnosis, treatment, and prognosis in obstructive airway disease. An useful index should be able to detect the bronchodilator response more sensitively not related with degree of airflow obstruction and also be independent of initial $FEV_1$. Method: Sensitivities of bronchodilator response in each group classified by degree of airflow obstruction in $FEV_1$, FVC, $FEF_{25\sim75%}$, Isovolume $FEF_{25\sim75%}$, sGaw were studied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between initial $FEV_1$ and reversibilities expressed as absolute, %initial, % predicted, %possible in $FEV_1$. Result: Sensitivities of bronchodilator response were 61.5% in FVC, Isovolume $FEF_{25\sim75%}$ and sGaw, in severe group, and 56.3% in Isovolume $FEF_{25\sim75%}$ and sGaw, in moderate group, and 62.5% in $FEV_1$ and sGaw and 50.0% in FVC and Isovolume $FEF_{25\sim75%}$, in mild group, and 60.0% in sGaw and 58.0% in Isovolume $FEF_{25\sim75%}$ in total patients.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initial $FEV_1$(L) and absolute, % initial, % predicted, % possible were 0.15, -0.22(p<0.05), 0.02, 0.24(p<0.05)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initial $FEV_1$(% predicted) and absolute, % initial, % predicted, %possible were 0.06, -0.28(p<0.05), 0.08, 0.39(p<0.05). Conclusion: Volume related parameters were more sensitive index not related with degree of airway obstruction and the change in $FEV_1$ expressed as % predicted was the least dependent on initial $FEV_1$ and reversibilities, expressed as % initial or as % possible(predicted minus initial $FEV_1$)were correlated with initial $FEV_1$.

연구목적: 폐쇄성 기도 질환자에서 기관지 확장제에 대한 반응의 평가는 그 반응의 가역성 유무에 따라 진단, 치료 그리고 예후 판단에 도움이 된다. 기관지 확장제 반응 지표는 폐쇄성 기도 질환자에서 기관지 확장 반응을 보다 예민하게 찾아낼 수 있어야 하고 폐쇄 정도에 따라 그 예만도가 일정하여야 하며, 그리고 처음 FEV1값에 크게 좌우되지 않아야 폐쇄성 기도 질환자에서 효과적으로 기관지 확장제 반응을 평가할 수 있다. 방법: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내과를 내원하여 폐쇄성 기도질환자로 진단받은 환자 75명을 대상으로 하여 fenoterol 흡입전과 흡입후 10분에 각각 폐기능 검사(2800 Autobox plethysmograph Gould electronics)를 시행하였으며, 이들 중 가역 반응을 보인 환자들을 처음 $FEV_1$(% pred)값에 따라 중증군, 중등증군, 경증군으로 나누어, American Thoracic Society에서 정한 가역성반응의 기준에 따라 기관지 가역 반응을 나타내는 5가지 지표($FEV_1$, FVC, $FEF_{25\sim75%}$, Isovolume $FEF_{25\sim75%}$, sGaw)들에서 그 예민도를 조사하였고 그리고 폐쇄성 기도 질환자 75명에서 $FEV_1$으로 가역반응을 나타내는 4가지 지표인 absolute, % initial, % predicted, %possible으로 구분하여 처음 $FEV_1$값에 대한 의존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가역 반응의 예민도 조사에서 전체적으로 Isovolume $FEF_{25\sim75%}$와 sGaw에서 58.0%, 60.0%로 가장 높았고 유량속도의 변화를 이용한 지표 중에서는 FVC가 54.0%로 가장 높았다. 중증군에서는 FVC, Isovolume $FEF_{25\sim75%}$, sGaw에서 61.5% 였고, 중등증군에서는 Isovolume $FEF_{25\sim75%}$와 sGaw에서 각각 56.3% 였으며 경증군에서는 $FEV_1$과 sGaw에서 62.5% 그리고 Isovolume $FEF_{25\sim75%}$와 FVC에서 50.0%였다. 처음 $FEV_1$값에 대한 의존도 조사에서는 처음 $FEV_1$값을 측정된 $FEV_1$값(L)로 나타낼 때 처음 $FEV_1$값과 absolute, % initial, % predicted, % possible 각각에서의 상관계수 r은 0.15, -0.22(p<0.05), 0.02, 0.24(p<0.05)였으며, 처음 $FEV_1$값을 $FEV_1$, % predicted로 나타낼 때 처음 $FEV_1$값과 absolute, % initial, % predicted, % possible 각각에서의 상관계수 r은 0.06, -0.28(p<0.05), 0.08, 0.39(p<0.05) 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폐쇄성 기도 질환에서 기관지 확장반응의 가역성을 나타내는 5가지 판정 지표들 중 처음 폐쇄정도와 관계없이 폐용적의 변화를 고려한 지표(Isovolume $FEF_{25\sim75%}$, sGaw)들에서 가역반응의 예민도가 높았으며, $FEV_1$으로 가역반응을 니타내는 4가지 지표중에서 처음 $FEV_1$값에 의존도가 가장 낯은 지표는 % predicted 였고, 처음 $FEV_1$값과 상관관계를 가지는 지표는 % initial과 % possible 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