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영일만의 모래해변 쇄파대에 사는 곤쟁이류 Archaeomysis kokuboi와 Acanthomysis sp. 두 종의 주야 수평이동

Diel Horizontal Migration of the Two Mysids Archaeomysis kokuboi and Acanthomysis sp. in the Sandy Shore Surf Zone of Yongil Bay, Eastern Korea

  • Suh, Hae-Lip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Jo, Soo-Gun (Department of Living Marine Resources, Kun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Kwang-Young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95.12.30

초록

동해 영일만의 모래해안 쇄파대에 사는 곤쟁이류 Archaeomysis kokuboi와 Acanthomysis sp.는 서로 다른 모습으로 주야 수평이동을 했다. Acanthomysis sp.는 어두워지면서 수심 1 m의 저층에서 유의하게 많이 잡혔고 해가 뜨면서 수심 1 m보다 깊은 곳으로 이동했다. 이때 생긴 빈 자리를 A. kokuboi가 차지했다. 한편 A. kokuboi도 오후가 되면서 수심 1 m보다 깊은 곳으로 이동했다. 파도가 강한 노출형 모래해안에서 A. kokuboi는 조간대에 사는 곤쟁이류로 알려졌으나, 영일만 모래해안에서는 조간대에 살지 않았다. 이 현상을 파도가 약한 차폐형 모래해안에 A. kokuboi가 적응한 결과로 해석했다. 쇄파대의 풍부한 먹이환경도 서식지를 바꾸는 데 기여한 듯 하다.

The mysids, Archaeomysis kokuboi and Acanthomysis sp., clearly exhibited the diel patterns of interspecific horizontal migration in the surf zone at a sandy shore in Yongil Bay, eastern Korea. Shoreward migration of Acanthomysis sp. at sunset resulted in the presence of significantly high numbers of mysids after dark at the bottom of 1 m depth. At first light, Acanthomysis sp. moved back to deeper water of>1 m depth in conjunction with a reverse migration by A. kokuboi. In the afternoon, A. kokuboi moved to offshore, then these species remained there. Although A. kokuboi has been considered an intertidal species in the exposed beaches with strong wave action, this is not the case in a sandy beach of Yongil Bay. We suggest that evidence for behavioral adaptation comes from the response of k. kokuboi to the sheltered beaches with weak wave action. The habitat shifts presumably provide this species with high availability of food materials in the surf zon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