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ometry and Canopy Dynamics of Pinus rigida, Larix leptolepis, and Quercus serrata Stands in Yangpyeong Area

양평지역 리기다소나무, 낙엽송, 졸참나무의 allometry와 임관동태 연구

  • Kim, Jong-Sung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College of Natural Resources, Korea University) ;
  • Son, Yowha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College of Natural Resources, Korea University) ;
  • Kim, Zin-Suh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College of Natural Resources, Korea University)
  • 김종성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산림자원학과) ;
  • 손요환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산림자원학과) ;
  • 김진수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산림자원학과)
  • Received : 1995.02.16
  • Published : 1995.06.30

Abstract

Site-specific allometric equations relating aboveground tree component biomass and leaf area to tree diameter, basal area, sapwood cross-sectional area and sapwood volume were developed using the destructive harvesting method for Pinus rigida Mill., Larix leptolepis Gordon, and Quercus serrata Thunb. stands in Yangpyeong, Kyonggi Province. There were significantly strong correlations between aboveground tree component biomass or leaf area and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basal area, sapwood area and sapwood volume. For a similar diameter tree, the three species had a similar stem wood biomass. However, carbon allocation patterns to stem bark, foliage, branch and total aboveground biomass differed among the three species. Specific leaf area and the ratio of leaf area to sapwood cross-sectional area of the three spec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llometric equations seemed To be related to leaf habit or leaf longevity. To elucidate the effect of leaf habit or leaf longevity on allometry and canopy characteristics clearly, more intensive studies are needed.

경기도 양평 지역에 생육하고 있는 리기다소나무, 낙엽송, 졸참나무 임분의 지상 부위 생체량과 엽면적을 추정하기 위해 흉고직경, 흉고단면적, 변재단면적, 변재부피 등의 변수를 이용하는 회귀식을 조제하였다. 지상 부위 생체량과 엽면적은 흉고직경, 흉고단면적, 변재단면적, 변재부피 등과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비슷한 직경급에서 3수종 모두 유사한 수간목부 생체량을 보였다. 그러나 수피, 잎, 가지와 지상 부위 총생체량과, 단위건중량당 엽면적 그리고 엽면적 변재단면적의 비에 있어 수종 간 차이가 뚜렷하였다. 생체량과 엽면적 추정을 위한 회귀식은 대상 수중의 잎의 습성과 수병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이며, 이들 영향을 보다 확실하게 구명하치 위해서 상세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