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Head Scatter Factor For Quasi - small Field Sizes

준소조사면에서의 산란인자

  • 이상공 (전북대학교 물리학과) ;
  • 김진기 (전북대학교 물리학과) ;
  • 김정홍 (전북대학교 물리학과) ;
  • 김부길 (전북대학교 의용생체공학과) ;
  • 권형철 (전북대학교 치료방사선과) ;
  • 김정수 (전북대학교 치료방사선과)
  • Published : 1995.12.01

Abstract

The behavior of the correction factor associated with the collimator opening(head-scatter factor) were investigated for the 6MV x-ray beams of medical linear accelerator. The primary photon fluence was measured in air quasi-small fied size. Consideration in this study was given to the effect of head scatter factor with quasi-small fied size, the upper and lower collimator jaw scatter collection factors of quasi-small field (4-10cm) were measured with ion chamber. In general, the wedge factors which are used clinical practics are ignored of dependency on field sizes and depth. In wedge factors for each wedge filter were measured at various depth by using 6MV X-ray. In this present we inverstigated systematically the depth and field sizes dependency to determine the absorbed dose more accurately. Head scatter(upper-lower collimator jaw)appears to be (1) a small effect, less than 5% over the range of clinical field sizes (2) generated primarily at the flattening filter and therefored influenced most by the upper collimator setting.

준소조사면을 대상으로 한 측정자료로부터 콜리메이터에의한 산란영향과 웨지(wedge) 사용에 따른 부가적 효과를 알아보았다. 6MV 의료용 선형가속기에서 발생된 방사선속의 중심축에서 공기중과 폴리스틸렌 팬톰, 물에대해 점리함 및 반도체검출기를 이용한 측정으로 헤드산란(위ㆍ아래 콜리메이터)의 방사선 기원과 그 크기를 결정하였다. 편평화 필터에서 형성된 산란이 대부분 윗 콜라메이터 조절에 의한 영향이 가장 크게 미침을 알수 있었다. 준소조사면에서 웨지인자(wedge factor)의 깊이에대한 영향은 웨지 각이 클수록 많은 경향을 보였고 조사변에대한 영향은 0.28%였다. 임상적으로 10 $\times$10$\textrm{cm}^2$ 이하의 준소조사면과 wedge가 부가적으로 사용되는 10cm 깊이 이하의 조사면 변화에대한 관심으로 헤드산란 및 워지에의한 영향을 확인함으로서보다 적합한 선량계산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