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the degree of maturity of Chinese cabbage blades and midribs pretreated with dilute acetic acid solutions during Kimchi fermentation

초산 전처리 배추김치의 발효중 엽신 및 중륵별 김치숙성도 평가

  • 정대림 (고려대학교 식품공학과) ;
  • 이혜준 (신구전문대학 식품영양과) ;
  • 우순자 (고려대학교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95.02.01

Abstract

Effect of the pretreatment with acetic acid(0.01%, 0.05%, 0.1%) on the fermentation of Chinese cabbage Kimchi, and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maturity between Chinese cabbage blades and midribs were observed. To estimate the degree of maturity,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with several variables such as pH, titratable acidity, volatile acidity, ascorbic acid content, resazurin test value and pH/acidity ratio. Based on the pH and titratable acidity, the degree of maturity of Chinese cabbage midribs fermented at 10$^{\circ}C$ until the optimum stage of fermentation increased more rapidly than those of the blades. The stage of maturity of Kimchi pretreated with 0.01% acetic acid were slightly prolonged, compared to those pretreated with acetic acid at the higher levels. The pH of Chinese cabbage midribs and blades pretreated with acetic acid was lower than those of control between 2nd and l0th day of fermentation. The volatile acidity of Chinese cabbage midribs and blades increased proportionally with the concentration of acetic acid. The ascorbic acid contents of Chinese cabbage midribs showed higher than those of Chinese cabbage blades. During the fermentation, the higher concentration of acetic acid was used, the less ascorbic acid content was remained. The pH/acidity ratio, volatile acidity, ascorbic acid content and resazurin test value of Chinese cabbage midribs and blades during Kimchi fermentation at 10$^{\circ}C$ showed good correlations with the pH and titratable acidity.

본 연구의 김치시료는 절인 배추를 수세하여 초산 0.01%, 0.05%, 0.1%의 수용액에서 10분간 침지 후 건져서 김치를 제조하였다. 김치발효중 배추를 중륵과 엽신별로 그 숙성도변화를 관찰하고, 초산첨가 농도에 따른 영향을 알아 보았다. 또한 김치숙성도 판정을 위한 여러방법(pH, 총산도, 휘발성산도, ascorbic acid함량, resazurin test value, pH/acidity ratio)간의 상관성을 검토하였다. 중륵과 엽신의 숙성도는 pH와 산도를 기준으로 관찰할 때 중륵이 엽신보다 숙성이 빠른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적숙기이후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1$0^{\circ}C$에서 배추김치의 발효중 대조구와 초산전처리구의 특징에 따른 차이는 별로 나타나지 않았다. 초산전처리한 김치는 pH와 총산도를 기준으로 볼 때 대조구에 비하여 김치의 숙성을 앞당기는 경향이었으며, 0.01% 초산전처리구만이 김치의 가식기간을 연장하는 듯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Ascorbic acid 함량이 비교적 높게 유지된 것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휘발성산도는 초산전처리농도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ascorbic acid 함량은 엽신보다 중륵에서 높은 값을 보였고, 초산전처리농도가 높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본 실험의 적숙기인 발효 제 3~6일의 pH는 4.6~4.4, 총산도는 0.4~0.5%, ascorbic acid함량은 7.5~11.5 mg%, RV는 4.5~5.0 그리고 pH/acidity ratio는 9~10을 나타냈다. 1$0^{\circ}C$에서 발효시킨 김치의 중륵과 엽신의 RV, 휘발 성산도, ascorbic-acid함량 그리고 pH/acidity ratio는 pH, 총산도와 상관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