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al and cooking characteristic properties of parboiled rice

파보일미(Parboiled rice)의 이화학적 특성 II. 파보일미(추청벼)의 물리적 성질 및 조리특성

  • 박선희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조은자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1995.05.01

Abstract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effect of parboiling on physical and cooking characteristic properties of milled rice. Equilibrium moisture content(EMC) of parboiled rice soaked at room tempe-rature(25$^{\circ}C$) and high temperature(75$^{\circ}C$) increased 1.8∼2.7 times & 1.4∼l.6 times as compare to raw rice, and time to reach EMC of parboiled rice became longer 4 times and 1.7 times than raw rice respectively. Equilibrium volume(EV), time to reach EV and volume increase rate constants(ku) were similar to EMC, time to reach EMC, and k. kv of parboiled rice brought about in decrease at room temperature and increase at high temperature. The geletinization temperature, time and peak viscosity of parboiled rice were higher than those of raw rice. Parboiling brought about in decrease in L/W of cooked parboiled rice kernels and L/W increased according to presoaking time was prolo-nged. Solid content of cooking water of raw rice were higher than those of parboiled rice. Hardness of uncooked PL20 & PL40 soaked for 30 min was higher than that of raw rice but that of uncookef parboiled rice soaked for 90 min was lower than that of raw rice. Springness of cooked parboile rice for initial 10 min decresed with that of cooked raw rice and then increased sharply, cooked f, r 15 min then increased slowly, cooked parboiled rice for 40 min increased more than cooked raw rice. Color differences($\Delta$I) of PT2O samples was the lowest L value of all the samples increased but a and b value decreased according to milling degree was high.

1. 실온($25^{\circ}C$)과 고온(75$^{\circ}C$)에 침지시의 평형수분함랑 (EMC)은 파보일미가 생쌀보다 각각 1.8~2.7배, 1.4~1.6배, EMC에 도달하는 시간은 각각 4배, 1.7배 정도 증가하였다. 수분흡수속도 상수(k)는 실온 침지시에는 PL40과 PT40이, 고온 침지시에는 PP와 PT20이 가장 컸다. 평형부피(EV)는 파보일미가 생쌀보다 실온과 고온에서 각각 1.6~2.8배, 1.3~l.5배 증가하였고, EV에 도달하는 시간은 실온에서는 시료간에 차이를 보였으나 고온에서 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실온 침지시의 부피증가속도 상수(kv)는 파보일링에 의해 감소하였으나 고온에서는 증가하였다. 2. 아밀로그램 특성에서 파보일미는 생쌀에 비하여 호화개시온도는 높았고 호화개시에 걸리는 시간도 길어졌으며 최고점도도 높았다. 파보일미의 setback은 10% 농도에서는 +값을, 12%농도에서는 -값을 보여 농도와 파보일 방법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다. 파보일미의 Breakdown은 10%와 11% 농도에서는 생쌀보다 작았으나 12%농도에서는 PT20은 생쌀보다 컸다. 3. 파보일미의 취반후 밥알의 L/W는 생쌀의 밥알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며 예비 침지 60분에서 침지후 최대치를 보였다. 4. 파보일미의 취반중 조리수에 유출된 고형분 함량은 생쌀이 파보일미보다 많았다. 5. 30분간 침지한 PL20과 PL40의 취반전 경도는 생쌀의 침지시보다 증가하였으나 90분간 침지한 파보일미는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파보일미의 탄력성은 취반 초기에는 생쌀과 같은 경향으로 감소하였으나 취반 15분경에는 급격히 증가하였고 취반 20분 이후에는 완만하였다. 모든 파보일미의 탄력성은 취반완료기에 생쌀보다 증가하였고, 30분 침지후 각각 30분, 40분 취반시의 탄력성은 PL40이 가장 높았다. 6. 파보일 시료중 PT2O의 색차($\Delta$I)가 가장 낮았으며 도정율이 커짐에 따라 L값은 증가하고 a,b값은 감소하였으며. 취반후의 색차도 PT20이 가장 낮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