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the Storage Time of the Jangduck. The First Report, Making and Effects of Storage Time on Proximate Composition Components of Jangduck

장떡의 저장성에 관한 연구 제1보. 장떡의 제조와 저장기간에 따른 일반성분의 변화에 관한 연구

  • 이숙미 (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염초애 (숙명여대 식품영양학과) ;
  • 조정순 (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1995.05.01

Abstract

This study was attempted to analyze the proximate composition content of Jangduck in order to find out usefulness as a stored food. Sex different group of Jangduck were assigne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ree different glutinous rice(10, 20, or 30%) with or without 30fo beef supplematation. The contents of moisture, protein, fat, carbohydrate, fiber and crude ash of Jangduck were periodically analyzed four times during 60 days. The results we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ontent of mois-ture in jangduck decreased as the level of glutinous rice flour increased in 15days. The moisture content slightly decreasedafter 30days of storage time. 2. The content of protein, fat, carbohydrate, crude fiber and ash of Jangduck were shown to be unchanged. 3. The crude protein of Jangduck was relatively high. 4. There was little change of proximate composition contents of Jangduck throu-ghout the total storage period.

된장에 찹쌀가루, 쇠고기, 파, 마늘, 깨소금 등을 혼합하여 볕에 말렸다가 찐 후 다시 말려 항아리에서 저장하면서 먹을 때는 참기름을 골고루 발라서 석쇠에 구워먹는 장떡은 단백질이 풍부한 고유음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찹쌀가루의 첨가량을 달리하고 쇠고기의 첨가유무에 따라 각기 장떡을 제조하여 저장기간에 따른 일반성분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장떡의 수분 함량은 찹쌀가루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며 저장기간 중 15일에서 급격한 감소를 보이다가 30, 45일가지는 비교적 적은 감소를 보이고 60일에는 거의 변동이 없거나 보관중에 공기중의 습기를 다시 흡수하여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에 따른 조단백, 조지방, 환원당, 조섬유, 조회분 함량은 변화가 거의 없어 유의적인 차이를 갖지 못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장떡은 저장기간인 60일이 되어도 일반성분에 별다른 변화가 없어 저장식품으로 알맞은 조건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앞으로는 고유저장음식인 장떡의 제조시 영양배합의 우수함과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여러 종류의 장떡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