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mary Production System in the Southern Waters of the East Sea, Korea II. The Structure of Phytoplankton Community

한국 동해 남부해역의 일차생산계 II.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 Published : 1995.06.01

Abstract

A total of 190 phytoplankton taxa was identified in southern waters of the East Sea of Korea in May 1988, July 1989 and November 1991. Leptocylindrus danicus, Nitzschia pungens and Bacteriastrum delicatulum were the dominant species in spring. In summer, Skeletonema costatum was dominant all around the study area but Chaetoceros socialis and Rhizosolenia alata f. gracillima were locally dominant. On the other hand, the dominant species in autumn shifted to Chaeotoceros socialis, Nitzschia delicatissima, Nitzschia sp. and Gymnodinium sp. The average species diversities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were low in spring, summer and autumn, being 1.24, 1.69 and 2.12 respectively.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in summer suggested that the surface water of this study area could be divided into three phytohydrographic regions which consisted of the oceanic water region affected by Tsushima current, the east Korean neritic water region and the proper water region adjacent to Ulleung island. Compared with the surface phytohydrographic regions, one more region might be recognized at the 40m depth waters. It was appeared in the middle of study area and seemed to be affected by both Tsushima current and water mass of 10$^{\circ}C$ located deeper than 50m.

동해 남부해역에서 1988년 5월과 1989년 7월 및 1991년 11월에 관찰된 식물 플랑크톤 집은 총 190종의 출현종을 기록하였고 규조류가 우점하고 있었다. 춘계 에는 Leptocylindrus danicus, Nitzschia pungens, Bacteriastrum delicatulum 등이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하계에는 Skeletonema costatum이 전반적인 우점현상을 보였 으며 Chaetoceros socialis, Rhizosolenia alata f. gracillima 등이 수역에 따라 우점 하였다. 추계에는 Chaetoceros socialis, Nitzschia delicatissima, Nitzschia sp., Gymnodinium sp.. 등이 우점하였다. 종다양성 지수의 평균은 춘계에 1.24, 하계에 1.69, 추계에 2.12로 다소 낮게 측정되었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집괴분석 결과 하 계에는 표층에서 대마난류의 영향을 받는 외양적 특성의 수계와 동해 연안의 수계 및 울릉도 주변수등 크게 3개의 수역으로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하계의 40m 수층 집괴분석 결과는 연구해역의 중앙부에서 표층 자료의 수역 구분 과는 별개의 또다른 식물수문학적 수역이 인지되었는데 이곳은 표층 주변의 대마 난류의 영향과 50m 이심의 수층에 존재하는 수온 1$0^{\circ}C$ 수괴의 양면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