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undances and Bacterivory of Heterotrophic and Mixotrophic Nanoflagellates in and Estuarine System of the Mankyung and Dongjin Rivers, Korea

만경.동진강 염하구에서 종속영양성 및 혼합영양성 미소편모류의 수도(數度)와 박테 리아 섭식

  • Published : 1995.10.01

Abstract

Abundances and bacterivory of heterotrophic and mixotrophic nanoflagellates were investigated fourtimes between October 1993 and March 1995 in an estuarine system of the Mankyung and Dongjin rivers to understand distributions of nanoflagellates and ecological significance of bacterivory of nanoflagellates. Bacterivory of nanoflagellates were measured with fluorescently labeled bacteria (FLB). Heterotrophic and autotrophic flagellates showed a rage of 438-4,159 cells ml/SUP -1/ (mean of 2,145 cells ml/SUP -1/, n=20) and 971- 4,935 cells ml/SUP -1/ (mean of 2,2226 cells ml/SUP -1/, n-20), respectively. These two groups of nanoflagellates generally showed similar distributions of abundance. Abundances of heterotrophic nanoflagellates, known as major grazers of bacteria, and those of autotrophic nanoflagellates with chloroplas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bacterial abundance (respectively, r$^2$=0.51 and r $^2$=0.47, p>0.05). Mixotrophic nanoflagellates seemed to comprise at least 4-23% of autotrophic nanoflagellate populations. Individual predation rates of heterotrophic nanoflagellates ranged from 2.2 to 14.2 bacteria flagellate/SUP -1/ h/SUP -1/ (mean of 4.9 bacteria flagellate/SUP -1/h/SUP -1/, n=16), and those of mixotrophic nanoflagellates from 1.6 to 9.7 bacteria flagellate/SUP -1/ h/SUP-1/ (mean of 3.7 bacteria flagellate /SUP -1/ h/SUP -1/, n=16). Bacterivory by mixotrophic nanoflagellates comprised from 30 to 69% of total nanoflagellates grazing on bacteria, indicating the significant role of mixotrophic nanoflagellates as grazers on bacteria in the study area. The ratios of grazing rates on bacteria to bacterial secondary production ranged widely from 0.06 to 1.23. In June, when abundances of total nanoflagellates were low, removal of bacteria by bacterivory of nanoflagellates was also a small fraction (0.08${\pm}$ 0.01, n=4) of bacterial production. In other seasons, nanoflagellates usually grazed on bacteria in significant fraction (0.06${\pm}$0.37, n=9) of bacterial production. Both heterotrophic and mixotrophic nanoflagellates appear to be major grazers on bacteria, and might transfer bacterial secondary production to higher trophic level in an estuarine system of the Mankyung and Dongjin rivers.

만경.동진강 염하구에서 종속영양성 및 홉합영양성 미소편모류(Nanoflagellates) 의 분포와 이들에 의한 박테리아섭식의 생태적 중요성을 추정하기 위해 1993년 10부터 1995년 3월 까지 총 4차에 걸쳐 풍속영양성 및 자가영양성 미소편모류의 수도와 FLB(fluorescently labeled bacteria)를 이용하여 박테리아 섭식률을 측정하였다. 연 구기간 동안 종속영양성 미소편모류와 자가영양성 미소편모류의 수도는 각각 438-4,149 개체 ml/SUP -1/(평균 2,145 개체 ml/SUP -1/, n=20), 971-4,935 개체 ml/SUP -1/(평균 2,226 개체 ml/SUP -1/,n=20)의 변화폭을 보였으며, 이들 편모류는 전반적으로 서로 유사한 수도를 나타냈다. 박테리아의 주요 섭식자로 알려진 종속영양 성 미소편모류와 엽록체가 있는 자가영양성 미소편모류의 수도는 보고 테리아의 수도 와 모두 유의성 있는 양의 상관관계(각각 $r^2$=0.51)과 $r^2$=0.47, p<0.05)를 보였다. 혼합영양성 미소편모류 군집의 크기는 적어도 자가영양성 미소편모류 군집의 4.23%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개체별 박테리아 섭식률(individual predation rate)은 종 속영양성 미소편모류가 2.2-14.2 박테리아 미소편모류/SUP -1/h/SUP -1/(평균 3.7 박 테리아 미소편모류/SUP -1/h/SUP -1/,n=16), 혼합영양성 미소편모류가 1.6-9.7 박테리 아 미소편모류에 의한 박테리아 섭식에서 30-69%를 차지하여, 박테리아 섭식자료서의 역할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박테리아 이차생산력에 대한 총 미오편모류의 박테리 아 섭식률의 비는 0.06-1.23으로 넓은 범위를 보였으나, 미소편모류의 수도가 매우 낮 은 1994년 6월의 경우(8$\pm$1%,써 =4)를 제외하면 총 미소편모류의 섭식률은 박테리아 이차 생산량의 상당 부분(66$\pm$37%,n=9)에 해당하였다. 따라서, 만경.동진강 염하구에 서 종속영양성 및 혼합영양성 미소편모류는 박테리아의 주요 섭식자로서 박테리아 이 차생산량을 상위 영양단계의 동물플랑크톤에 전달하는 연결자 역할을 할 것으로 보여 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