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멸구 겹눈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Compound Eye of the Ric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aL) (Homopteera : Auchenorhyncha : Delphacidae)

  • Young Nam Youn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logy, College of Agricultur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95.09.01

초록

벼멸구는 촉각 기부의 등쪽으로 알모양의 24ㅐ의 겹눈을 가지고 있다. 벼멸구의 겹눈은 각각의 단안이 분리되어 있고, 각각의 낱눈이 단지 그들의 각막렌즈를 통해서만이 빛을 받는 연립상 겹눈이다. 각각의 낱눈은 큐티클성 각막렌즈와 그 안쪽에 수정체가 자리잡고 있다. 망막세포는 수정체 바로 아래쪽에 자리하며, 이들은 중심축쪽으로 감간소체들이 밀집결합되어 감간체를 형성한다. 감간체는 수정체 말단부분에서 시작되어 기저막에 까지 다달으며, 그 길이는 약 110~120${\mu}m$ 정도이다. 수정체는 4개로 구성된 한쌍의 1차색소세포에 의하여 둘러 쌓여 있으며 이것은 또한 부속색소세포에 의하여 둘러 쌓여 있다. 수정체의 기저부위는 망막세포에 의하여 일부가 둘러 쌓여 있고 망막세포의 내벽에서 발생한 감간소체들로 구성된 감간체와 닿아있다. 낱눈의 상층부분은 7개의 망막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나 3/4부분에서 8번째의 망막세포가 자리잡고 있다. 중앙부위에 위치하고 있는 감간체는 미세용 모들로 구성된 감간소체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 미세융모의 단면도는 6각형의 모양을 가지고 있다. 색소세포는 수정체를 감싸고 있는 1차색소세포, 기저막까지 닿아 있는 부속색소세포, 기저막 부위의 기저막색소세포 등 3가지의 색소세포들이 있다.

The adult brown planthopper possesses tow oval shaped compound eyes which, on their ventral borders, curve around the base of the antennae. Compound eye of the adult brown planthopper is recognised apposition eye which each ommatidium is optically isolated from it surroundings, the rhabdoms receiving light only from their own corneal lens. Each ommatidium possesses its own dioptric apparatus formed from the cuticular cornea and an underlying crystalline cone. The retinula cells lying immediately beneath the crystalline cone have their individual rhabdomeres tightly opposed to form one central, closed rhbdom. The rhabdom stretches from the spex of the crystalline cone nearly to the basement membrane and is approximately 110~120 $\mu\textrm{m}$ in length. The crystalline cone is surrounded by a pair of primary pigment cells an these in turn are surrounded by accessory pigment cells. Accessory pigment cells extend beyond the crystalline cone surrounding the retinular cells in the distal region of the eye. The crystalline cone is surrounded by the distal-most regions of the retinula cells show the presence of seven cells and sections taken proximally in the last quarter of the omatidium before the basement membrane is reached, reveal the presence of a small, eighth retinula cell which also contributes to the central rhabdom. Each ommatidium has a central rhabdom formed from the modified inner border of all of the retinula cells. Th rhabdom consists of micrvilli arising from the inner wall of each retinula cell. In cross section th microvilli exhibit a characteristic honeycomb appearance. Pigment cells comprise the primary pigment cells enveloping the crystalline cone, the accessory pigment cells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mea to the basement membrane and the small pigment cells of the basement membran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