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지 침광혼효림과 상록침엽수림내에 분포하는 임상선태류식생의 군락생태학적 연구

  • 송종석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1995.09.01

Abstract

The bryophyte communities on the forest floor of the mixed coniferous, deciduous broad-leaf forest and the evergreen coniferous forest of cool temperate and subalpine zones in Chiri Mountains with the highest peak (Cheonwangbong 1915 m) in south-centr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investigated from the phytosociology viewpoint. As a result, five bryophyte communities were recognized, considering the species composition of vascular vegetation; A. Sasamorpha borealis-Abies koreana/Dicranum scoparium-Plagiothecium silvaticum community, B. Bosta minor-Abies koreana/Anomodon rugelii-Plagiomnium cuspidatum community, C. Abies koreana/Hylocomiopsis ovicarpa-Entodon rubicundus community, D. Abies koreana-Picea jezoensis/Hylocomiopsis ovicarpa-Thuidium kanedae community, E. Abies koreana-Pieea jezoensis/Hylocomium splendens-Pleurozium sehreberi community. Among these, the communities A, B, C and D were distributed in the mixed coniferous and deciduous broad-leaf forest of lower altitudes (1200 to 1700 m) and characterized by the elements of the cool temperate zone. They were confimled as synusies belonging to the Fraxino-Abietetum koreanae Song 1988. The community E was distributed in higher altitudes (1700 m to near the summit) and characterized by the species group of the holarctic elements, e.g. Hyloeomium splendens, Pleurozium sehreberi, Dieranum majus, etc. limited in subarctic; subalpine and arctic; alpine zones. The community E was confirmed as a synusie of the Abieti koreanae-Piceetum jezoensis Song 1991 belonging the Vaecinio-Pieeetea Br.-BI. 1939. Up to date many investigator have described the coniferous forest distibuted above 1200 m in Chiri mountauns as the forest vegetation of subalpine zone. However, fro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the boundary of the mixed forest and the true subalpine coniferous forest was elucidated to be ca. 1700 m phytosociologically. Species richness was highest in the community E, and the other four communities showed a similar species richness. Among the species diversity indices, H' and D were high in the communities Band E, low in the communities A and C, and medium in the community D. The values of J' decreased with the increase in altitudes and the community E showed the lowest value. The result of Bray-Curtis ordination revealed that the diversity analysis and the division of the above two forest zones are justifiable. The taxa of the bryophyte communities were composed of 25 families, 46 genera, 73 species, 1 subspecies and 2 varieties.

한반도 중, 남부지역에서 가장 높은 산악지역인 지리산지의 냉온대 및 아고산대의 침광혼효림과 상록침엽수림의 임상선태류군락을 식물사회학적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그 결과 고등식물군락의 조성과 관련하여 다섯 임상선태류군락을 식별하였다. A 조릿대-구상나무/비꼬리이끼-수저잎산주목이끼군락, B. 비비추-구상나무/곱슬명주실이끼-등덩굴초롱이끼군락, C. 구상나무/아기호랑꼬리이끼-가지윤이끼군락, D. 구상나무-가문비나무/아기호랑이끼-깃털이끼군락, E. 구상나무-가문비나무/수풀이끼-겉창발이끼군락. 이들 군락 중 A, B, C, D 등 네 군락은 비교적 낮은 해발영역 (1200-1700m)의 침광혼효림에 분포하며, 냉온대의 종요소에 의해 특징화되었다. 이들 군락은 쇠물푸레-구상나무군집에 속하는 하나의 분층군락으로 확인되었다. E군락은 보다 높은 해발영역(1700m 이상)에 분포하며, 아한대; 아고산대와 한 대; 고산대에 한정분포하는 주극요소의 종군에 의해 특징화되었다. 또 이 군락은 월귤-가문비나무군강에 속하는 구상나무-가문비나무군집의 하나의 분층군락임이 밝혀졌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자들이 지리산지 1200m 이상에서 정상 근처까지 분포하는 침엽수림을 아고산대의 식생으로 취급하였다. 그렇지만, 현 연구결과는 식물사회학적 입장에서 침광혼효림과 진성아고산침엽수림의 경계가 1700m가 된다는 사실을 명백히 하였다. 선태류의 종의 풍부성은 E군락에서 가장 높았으며, 나머지 네 군락은 비슷한 수준이었다. 선태류의 종다양도지수에 있어서 H'와 D는 B와 E군락에서 높았으며, A와 C군락에서 낮고, D군락은 중간적인 값을 나타내었다. 균등도지수(J')의 값은 고도의 증가와 함께 감소하여, 높은 해발영역의 E군락에서 가장 낮았다. Bray-Curtis 서열법의 결과는 이 다양성 분석과 상기의 두 삼림대의 구분이 정당함을 나타내었다. 조사된 지리산지의 선태류의 분류군은 25과, 46속, 73종, 1아종, 2변종으로 구성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