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gional Study on the Korean Toilet Culture

韓國 통시(뒷간) 文化의 地域的 硏究

  • 장보웅 (전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
  • Published : 1995.09.01

Abstract

According to cultural diffusion route, the Korean toilet culture could be classified as southern culture and northern culture, In Cheju Island the toilet is located on the stone fence of swine. The native people of Cheju Island name it as TONGSHI. And Southern culture could be diffused from South Sea to Cheju Island by the sea current. Around Mt.Chiri area, the greater part of traditional toilets are on the upper floor in the barn, and pigs are on the bottom floor under the toilet. This type of toilet would be the northern culture of the toilet, which would be diffused from continent of Asia to Korean Peninsula. Residents of these areas also name this toilet as TONGSHI. The Korean word "TONGSHI" means a toilet on the pig fence. Traditional toilet culture in Korea differs from regions and residents. We can find dry-closets in Seon-am Temple and Song-kawng Temple. This high floor dry-closet type would be effected by Buddhism. In the reclaimed land and islands of west sea we could not find the old traditional toilets.l toilets.

뒷간에 관한 호칭으로서 한반도에서 가장 넓게 분포되었던 용어는 통시이나, 이 통 시라는 표현은 현재 많이 사용하는 용어가 아니다. 그러나 과거에는 한반도 어느 지역에서 나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된 용어임을 답사를 통해서 알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돼지울과 뒷 간이 함께 만들어진 경우에 통시라고 호칭하는 경향이 있었다. 제주도에서의 통시는 돌로 울을 만들어 돼지울을 만들고, 돼지울의 한쪽에 높게 고상의 형태로 뒷간을 만든다. 즉 돼지 울과 뒷간이 하나의 세트로 이루어졌다. 지리산을 중심으로 고상의 통시가 분포되어 있다. 통시에 돼지를 사육하는 마을도 있고, 고상의 통시이지만 현재는 돼지를 사육하지 않는 마 을도 있다. 선암사와 송광사의 뒷간도 고상의 구조이나 돼지의 사육과는 관계가 없다. 사찰 에서 고상의 뒷간을 만든 이유는 인분을 고화시키면 악취도 안 나고 처내기에 편리하기 때 문이다. 우리 나라에서 가장 단순한 구조를 갖는 뒷간은 디딤돌 뒷간이다. 이 경우는 지면에 디딤들을 2개 놓고 그 위에서 뒤를 보게 되어 있으며, 돼지의 사육과는 관련이 없다. 가장 단순한 구조의 뒷간이다. 서해안 도서 지방의 뒷간을 보면 돼지울과 뒷간이 나란히 배치되 어 있는 경우가 많다. 낙동강 상류 지방에는 남녀 유별의 통시가 많다. 과거 강원도 화전민 의 통시는 안채에 붙어 있다. 다설 지역인 울릉도 나리 분지에 있는 통시는 겨울의 적설기 에 대비한 통시의 구조이다.

Keywords

References

  1. 地理學 v.10 濟州島 民家의 硏究 張保雄
  2. 地理科學 v.24 韓國 妻入民家 小考 張保雄
  3. 地理學 v.16 울릉도 羅里洞의 투방집 硏究 張保雄
  4. 便所の進化 高野六郞
  5. 便所のはなし 谷直樹
  6. こやしと便所の生活史 楠本正康
  7. トイレ學入門 鈴木了司
  8. 龐神と厠神 飯島吉晴
  9. トイレ考現學 山路茂則
  10. トイレが變る 山本耕平
  11. 厠談義 杉戶淸
  12. 厠まんだら 李家正文
  13. 糞尿と生活文化 李家正文
  14. トイレ窓から 平田純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