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stribution of conifers and taxads in time and space in the Korean peninsula

韓半島 松栢類의 時 . 空間的 分布域 復元

  • 공우석 (경희대학교 문리과대학 지리학과) ;
  • Published : 1995.03.01

Abstract

One of the oldest fossil of conifers and taxads in the Korean peninsula includes Elatocladus, Ullmannia, Walchia and dates back to the Permian period of the Palaeozoic era. The only conifer which successfully survived since the Cretaceous period is Pinus and still thrives in Korea. The extinction of Miocene conifers, such as Sciadopitys, Taxodiaceae, Metasequoia and Cryptomeria may due to the climatic deteriorations during the late Pleistocene period. However, the cryophilous conifers and taxads, e.g..Pinus, Juniperus, Abies, Picea, Cupressaceae, Larix and Taxus continued to exist from the Miocene to the late Pleistocene and became major vegetational elements in the mountainous areas of Korea. As the temperature ameliorates in the late Holocene period, thermophilous Pinus (Diploxylon) gradually had increased in numbers and became a dominant vegetation in the lowland and montane areas since 2,000 years B.P. in korea. Out of various Korean conifers and taxads, Pinus which surviving since the Cretaceous period of Mesozoic era, ranges spatially from southern coastal area to northern alpine belt of the Korean peninsula. Pinus which contains largest species number in conifers is one of the most well-adapted genus to the Korean environment. The next important conifer Juniperus dates back to the Miocene period of Cenozoic era and continuously maintains speciation and expansion of distributional range. Other major conifers and taxads of Korea include Picea, Abies, Lorix and Taxus. The restriction of distributional range of Cephralotaxus and Tsuga may due to the climatic deterioration during the Pleistocene period of Cenozoic era. The patterns of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Korean conifers and taxads may provide invaluable informations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present-day distributional range and ecology.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송백류 화석은 고생대 페름기에 생육했던 Elatoeladus, Ullmannia, Walchia 등이다. 중생대에 출현했던 대부분의 송백류는 신생대에 들어서 멸종했 으나 소나무(Pinus)속은 현생하는 송백류 중 유일하게 중생대 백악기 이래 오늘날까지 계속 적으로 살아 남았다. 신생대 제3기 마이오세부터 제4기 까지 연속적으로 나타났던 송백류 가운데 오늘날 한반도에서 멸종된 송백류는 왜금송(Sciadopitys)속, 낙우송(Taxodiaceae)과, 메타세콰이어(Metasequoia)속, 삼나무(Cryptomeria)속 등이며, 이들은 제4기 후기의 기온 한 랭화에 의해 소멸된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소나무(Pinus)속, 노간주나무(Juniperus)속, 전나 무(Abies)속, 가문비나무(Picea)속, 편백(Cupressaceae)과 등은 제3기 마이오세 이래 제4기 후기까지 계속 출현한다. 제4기 플라이스토세 후기에 한반도에는 가문비나무(Piceo) 속, 소 나무(Pinus)속, 전나무(Abies)속. 이깔나무(Larix)속, 주목(Taxus)속, 찝방나무(Thuja)속 등 한랭한 기후에 적응한 송백류가 분포역을 확장했다. 제4기 홀로세 초기와 중기에 잎이 두개 인 소나무 Pinus(Diploxylon)속은 전나무(Abies)속이나 잎이 다섯개인 소나무 Pinus(Haploxylon)속과 혼생하기도 했으나, 후기로 가면서 기온 온난화를 반영하듯 잎이 두 개인 소나무 Pinus(Diploxylon)속이 우점하는 경향이 뚜렷해졌다. 한반도의 송백류 중 소나 무(Pinus)속은 중생대 백악기에 출현한 이래 가장 성공적으로 환경에 적응하여 오늘날에도 가장 넓은 분포역을 차지하며 가장 많은 종을 보유하고 있다. 노간주나무(Juniperus)속은 신 생대 제3기 마이오세 이래 종의 분화와 분포역의 확장을 통해 소나무(Pinus)속 다음의 지위 를 송백류에서 차지한다. 즉, 화석의 출현 시기가 이른 송백류일수록 오늘날 넓은 분포역을 점유하고 다양한 종이 발견되었다. 가문비나무(Picea)속, 전나무(Abies)속, 이깔나무(Larix) 속, 주목(Taxus)속도 제3기 이래 한반도 환경에 성공적으로 적응한 송백류들이다. 반면에 개비자나무(Cephalotaxus)속, 솔송나무(Tsuga)속의 분포역은 축소되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신생대 제4기 기온 한랭화에 기인한 것으로 본다. 비자나무(Torreya)속과 향나무(Sabina)속 의 화석은 보고되지 않았다. 현생 송백류 분포역의 넓고 좁음은 과거와 오늘날의 환경 조건 과 함께 그들의 출현 시기와도 연관시켜 고려되어야 한다. 한반도 송백류에 대한 시.공간 적 분포에 대한 접근은 장차 수행될 송백류의 속별, 종별 분포역과 생태를 설명하는데 유용 한 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충북대 논문집 v.19 대암산 고층 습원의 화분분석적 연구 강상준
  2. 한국지지(총론) 국립지리원
  3. 지질 제 4 기층 김명근
  4. 북한의 선사고고학 한창균
  5. 한식지 v.2 no.1 한국산 화석 식물 목록 김봉균
  6. 한생태지 v.3 no.1,2 한국의 환경변천과 농경의 기원 김준민
  7. 조선고고연구 v.86 평산군 해상동굴 퇴적층의 포자-화분 구성 김흥걸
  8. 조선고고연구 v.86 덕천 승리산 동굴 유적의 포자-화분 구성 김흥걸
  9. 함북 화대군 털코끼리 발굴지에 발달한 니탄층의 포자 화분 조합 로영대
  10. 북한의 선사고고학 한창균
  11. 제 4기 층서 구분에서 제기되는 몇가지 문제 리상우
  12. 북한의 선사고고학 한창균
  13. 조선고등식물분류명집 리종오
  14. 한생태지 v.13 no.4 천리포 수목원의 이탄의 화분 분석 박인근
  15. 한생태지 v.16 no.3 경기도 팽성지역의 토탄의 화분 분석 박인근
  16. 동물상과 식물상 박희현
  17. 한국의 고고학 I v.상 한국사론 12 국사편찬위원회
  18. 조사연구보고(자원개발연구소) v.6 포항 지역의 마이오세 지층의 미고생물학적 연구 백광호;봉필윤;최덕근
  19. 포항 지역에 분포된 제 3기 퇴적층의 미고생물학적 연구 봉필윤
  20. 조사연구보고(한국동력자원연구소) v.14 연일 동산리 지역의 화분 연구 봉필윤
  21. 한국 구석기학 연구의 길잡이 손보기
  22. 식물학 대사전 송주택
  23. 한식지 v.14 no.3 평택지구 토탄의 화분 분석 오지영
  24. 지질광상연구보고(국립지질조사소) v.13 북평지역의 화분화석과 규조화석에 대한 연구 유정자
  25. 한국의 송백류 이영로
  26. 서울대 농대 관악수목원 연구보고 v.4 우리나라의 나자식물 이창복
  27. 한국식물명감 이춘령;안학수
  28. 한국의 고생물 이하영
  29. 한국지질론 장기홍
  30. 한생태지 v.10 no.4 대암산 습원의 이탄의 화분분석에 의한 식생변천에 관한 연구 장남기;김영복;오현혜;손영희
  31. 한생태지 v.11 no.3 연일지역 신생대 제 3기 마이오세의 화석화분분석에 관한 연구 장남기;김기완;김재근
  32. 조선 고고학 전서 원시편(식기시대) 저자불명(Anomymous)
  33. 룡곡 제 1호 동굴 퇴적층의 포자,화분 분석 전제헌 외
  34. 북한의 선사고고학 한창균
  35. 82-국토기본지질(한국동력자원연구소) 포항분지의 층서 고생물학적 연구 전희영
  36. 성대논문집 v.10 한국 삼림식물대 및 적지적수론 정태현;이우철
  37. 한국의 충적지형 조화룡
  38. 제 4기 학회지 v.1 no.1 가조 분지의 지형 발달 조화룡;장호;이종남
  39. 한지형지 v.1 후빙기 후기의 가와지곡의 환경변화 조화룡;황상일;윤순옥
  40. 일산 신도시 개발지역 학술 조사보고서 v.1 화분분석 최기룡
  41. 한생태지 v.15 no.1 익산군 미륵사지의 퇴적층에 대한 화분 분석적 연구 최기룡
  42. 한국의 구석기 문화 최무장
  43. 동방학지 v.65 북한 고고학계의 구석기 시대 연구 동향 한창균
  44. 박물관기요 v.8 용곡 제 1호 동굴유적의 시기 구분과 문제점 한창균
  45. 북한 구석기 문화연구 30년 북한의 고대사 연구의 성과 한창균
  46. 구석기 시대와 문화 한창균
  47. 북한 선사 문화 연구 한창균;신숙정;장호수
  48. 日本林會誌 v.23 花粉統計による 朝鮮の 森林遷考察 松鳥眞次
  49. 文部省 海外學術調査 韓國における 環境遷史と 農耕の 起源 安田喜憲;塚田松雄;金遵敏;李相泰;任良宰
  50. An Introduction to Paleobotany Arnold,C.A.
  51. Korea,Rep.Geosci.and Min.Res. v.10 Tertiary stragraphy and palynology of the Gampo area, Gyeongsangbugdo Bong,P.Y.
  52. Kor.J.Bot. v.25 no.1 Late-Quaternary vegetation in the lake of Korea Chang,C.H.;Kim,C.M.
  53. Acta Horti.Bergiani,Band v.20 no.4 The distribution of conifer and taxad genera in time and space Florin,R.
  54. The Oxford Encyclopedia of Trees of the World Hara,B.
  55. An Atlas of Past and Present Pollen Maps for Europe: 0-13000 years ago Huntley,B.;Birks,M.J.B.
  56. Jour.Fac,Sci.Hokkaido Univ.Ser. v.4 no.1 Notes on some Tertiary plants from Chosen I Huzioka,K.
  57. Trans.Proc.Palaentol.Soc.Japan N.S. v.3 Notes on some Tertiary plants from Korea II Huzioka,K.
  58. Jour.Min.Coll.Akita Univ.Ser.A v.5 The Tertiary floras of Korea Huzioka,K.
  59. Kor.J.Quat.Res. v.5 no.1 Present distribution of cryophilous plants and palaeoenvironme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ng,W.S.
  60. Kor.J.Quat.Res. v.6 no.1 The vegetational and environmental history of the pre-Holocene period in the Korean peninsula Kong,W.S.
  61. The Plant Geography of Korea Kong,W.S.;Watts,D.
  62. Kor.J.Quat.Res. v.8 no.1 The vegetational history of Korea during the Holocene period Kong,W.S.
  63. Dept.For.Natl.Taiwan.Univ. A Monograph of the Genus Abies Liu,T.S.
  64. Textbook of Theoretical Botany 3 McLean,R.S.;Ivimey-Cook,W.R.
  65. Flora Sylvatica Koreana. Nakai,T.
  66. Bull.Natl.Sci.Mus. A Synoptical Sketch of Korean Flora Nakai,T.
  67. The Morphology of Gymnosperms Sporne,K.R.
  68. The Evolution of Palaeobiology of Land Plants Thomas,B.A.;Spicer,R.A.
  69. For.Exp.Stat.Rep. v.4 Corean Timber Trees,Vol.1,Ginkgoales and Coniferae Uyeki,H.
  70. Ph.D.Thesis Untersuchungen zur Jungquartaren Vegetationsentwicklung in den Fluβgebieten des Gawaji-, Dodaecheon-, Youngyang-, Unsan-, and Jumunjin-Gebietes Sudkoreas Youn,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