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치과교정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제25권1호
- /
- Pages.101-110
- /
- 1995
- /
- 2234-7518(pISSN)
- /
- 2005-372X(eISSN)
상악골 협측 수평 골절단술 직후 교정력에 의한 초기 치아주위 조직반응
THE INITIAL TISSUE CHANGE TO THE IMMEDIATE ORTHODONTIC FORCE FOLLOWING BUCCAL HORIZONTAL SUBAPICAL OSTEOTOMY OF MAXILLA
- Hong, Kwang-Jin (Department of Dentistry,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Ahn, Byoung-Keun (Department of Dentistry,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발행 : 1995.02.01
초록
악교정수술을 요하는 악안면 기형환자에서 술후 교정치료시기는 골 치유정도 또는 골편의 안정성과 환자의 악골운동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근래에 악교정 수술시 이동골편의 고정에 miniplate나 screw등을 이용한 견고성 고정 방법이 증가하는 추세이고 이는 술후 악간 고정기간을 최소화하고 교정력에 의한 골편의 변위 가능성을 줄이므로써 술후 조기에 교정치료를 가능하게 하였다. 한편 술후 조기에 교정치료를 시행할 경우는 골 절단술에 의한 혈류량의 변화와 외과적 처치에 의한 치주조직의 염증반응과 대사작용의 증가 등으로 인해 일반적인 치아이동과는 골개조, 초자양 변성 및 치근흡수 등에서 다소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저자 등은 고양이의 상악골 협측 치근단 하부에 수평적 골절단술을 시행한 후 즉시 교정력을 가하여 초기의 치주조직 반응을 교정력만을 가했을 때의 조직반응과 비교 관찰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골절단술 시행후 즉시 교정력을 가한 실험군에서 교정력만을 가한 대조군에 비해 1. 압박측에서 치조골면을 따라 보이는 파골세포의 수가 증가하였고 골흡수 양상도 보다 직접성으로 관찰되었다. 2. 압박측에서 초자양 변성정도는 보다 경미하게 관찰되었다. 3. 견인측에서 신생골 형성은 치조골면을 따라 균일하게 형성되었고 대조군에 비해 다소 증가된 양상으로 뚜렷한 휴지선이 관찰되었다. 4. 치근흡수는 양군 모두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tissue response to the orthodontic force applied immediately after buccal horizontal subapical osteotomy of maxilla. Five mongrel cats weighing about 2.5 Kg were used for this experiment. The left upper canine and premolar of each cat served as a experimental side and the right ones as a control side. On the experimental side, a 100gm orthodontic force was applied between the upper canine and premolar immediately after the osteotomy. On the control side, the same orthodontic force was applied without the osteotomy. After 7days,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sacrific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pressure zones of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 increase of osteoclasts and direct resolution along the alveolar bone surface was observed as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2. In the pressure 2on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 less extensive hyalinized zone was observed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3. In the pressure zones of both group, no root resorption was found. 4. Tn the tension zones of the experimental group, new bone deposition increased along the alveolar bone surface as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early orthodontic treatment after orthognathic surgery may have some benefits if the stability of the repositioned segment at surgery is secur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