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lts of Postoperative Irradiation in Patients with Carcinoma of Uterine Cervix Stage IB and IIA

자궁경부암 IB와 IIA 환자의 수술후 방사선치료 결과

  • Ahn Sung Ja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
  • Nam Taek Keun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
  • Chung Woong Ki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
  • Nah Byung Sik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
  • Choi Ho Sun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
  • Byun Ji Soo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 안성자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남택근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정웅기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나병식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최호선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
  • 변지수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 Published : 1995.03.01

Abstract

Purpose : The adjuvant postoperative radiotherapy has been usually applied to the patients with unfavorable prognostic factors after radical operation in early cervical cancer. We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the survival status and failure patterns of the patients with postoperative radi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ninety patients with FIGO stage IB and IIA cervix cancer who received postoperative pelvic irradiation at Chonnam University Hospital between August 1985 and December 1988, Seventy-eight patients had adequate follow-up information for survival analysis. Median follow-up time of these patients was 64 months. Results : The 5 year overall and disease free survival rate of ninety patients was $80.0\%$ and $80.2\%$, respectively. The prognostic significance to the survival was determined by multivariate analysis. Adequacy of resection margin(p=0.005) and lymph node status(p=0.005) appeared to b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Recurrence occurred in 13 patients, 5 in the pelvis and 8 at distant sites. The median time to recurrence was 19 months(range:3-39 months). The pelvic recurrence was more prevalent in the group of patients with adenocarcinoma, depth of stromal invasion more than 10mm and use of chemotherapy. The distant failure was more prevalent in the group of positive resection margin or positive lymph nod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 Patients with pelvic lymph node or surgical margin involvement clearly constitute a high risk group in this analysi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candidates for some form of adjuvant therapy.

목적 :조기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보조적 방사선치료요법은 근치적수술을 시행하고 재발의 위험이 높은 불량한 예후를 갖는 환자에서 시행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환자의 생존과 치료실패에 영향을 주는 예후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남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1985년 8월부터 1988년 12월까지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자궁경부암 병기 IB와 IIA환자 106명중 기록이 충분한 9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추적율은 $88\%$(78/90)였고 추적기간의 중간간은 64개월이었다. 결과 : 90명에 대한 5년 생존율및 5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80.0\%$, $80.2\%$였다. 다변량생존분석에서 65명을 대상으로 환자의 연령, 병기, 조직학적 분류, 수술전 혈중 CIA 농도, 출산력, 경부침윤정도, 종양의 육안적 크기, 종양의 궤양성 유무, 임파선 전이 유무, 수술절단면의 소견, 항암제치료 유무를 변수로 분석결과 수술절단면의 조직학적인 소견(p=0.005), 임파선전이유무(p=0.005)가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예후인자였다. 추적기간중 13명에서 재발이 확인되었고 부위별로 보면 골반내 국소재발이 5명, 원격전이가 8명 이었으며 수술후 3개월에서 39개월사이에 발견되었으며 중간값은 19개월이었다. 골반내 전이는 선암(p=0.034)과 경부침윤 10mm 이상(p=0.02) 그리고 항암제치료(p=0.023)를 시행하였던 환자군에서, 원격 전이에 있어서는 임파선전이와 수술절단면에서 암세포가 양성을 보였던 환자군에서 각각 더 높은 전이율을 보였다. 치료에 의한 합병증을 호소하였던 환자는 15명이었으며 가장 흔한 증상은 혈변이나 혈뇨였고 중증의 합병증을 보인 환자는 없었다. 결론 : 이에 저자는 조기자궁경부암 IB와 IIA환자에서 수술병리학적소견중 임파선전이와 불충분한 수술적절제가 예후에 있어서 가장 큰 영향을 보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소견을 보인 환자는 보다 적극적인 보조치료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