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diction Formulas of Pulmonary Function Parameters Derived from the Forced Expiratory Spirogram for Healthy Nonsmoking and Smoking Adults and Effect of Smoking on Pulmonary Function Parameters

비흡연 및 흡연 성년 한국인에서의 노력성호기곡선을 이용한 폐활량측정법 검사지표들의 추정상치 및 이에 대한 흡연의 효과

  • Cho, Won-Kyoung (Department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Kim, Eun-Ok (Department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Myung, Seung-Jae (Department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Kwak, Seung-Min (Department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Koh, Youn-Suck (Department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Kim, Woo-Sung (Department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Lee, Moo-So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Kim, Won-Dong (Department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조원경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김은옥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명승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곽승민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고윤석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김우성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이무송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예방의학교실) ;
  • 김원동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4.10.31

Abstract

Background : The past studies on prediction formulas of pulmonary function parameters in healthy nonsmoking Korean adults have been performed in relatively small number of subjects and the reported results were restricted on a few parameters. Also there was no systematic investigation into the effect of smoking on pulmonary function parameters in smokers who have no respiratory symptoms. Therefore we attempted to establish prediction formulas of pulmonary function parameters and examined the effect of smoking on pulmonary function parameters. Methods We analyzed the result of parameters derived from the forced expiratory spirogram in 1,067 nonsmoking subjects from June in 1990 to December in 1991. They consisted of 306 males and 761 females and had neither respitatory symptoms nor history of respiratory disease. We derived prediction formulas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method from their age, heights, and weights in each sex. To examine the effect of smoking on pulmonary function parameters, we classified 383 smoking men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past amount of smoking as follows : i.e. group of smokers who have smoked below 10 pack-years, 10-20 pack-years and above 20 pack-years. Regarding each group of past smoking as an independent dummy variable, we analyzed pulmonary function parameters including nonsmoking men as a baseline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We evaluated the smoking effect on pulmonary function parameters according to estimated p-value. Result : 1) Prediction formulas for pulmonary function parameters in each sex were derived. 2) The past smoking less than 10 pack-years does not give any effect on pulmonary function parameters. The past smoking of 10~20 pack-year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FEV_1$/FVC and FEF 25~75%, and the smoking above 20 pack year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FEV_1$ and $FEV_1$/FVC. Conclusion : We have got prediction formulas of pulmonary function parameters which is driven from forced expiratory spirogram in nonsmoking Korean adults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from age, heights and weights of subjects. The past smoking more than 10 pack-year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ome pulmonary function parameters of airflow obstruction.

연구 배경 : 국내의 비흡연 성인에서의 폐활량측정법 검사지표들의 추정정상치에 대한 연구는 대상수가 적거나 일부 검사지표들에 국한되어 보고되었고, 마성호흡기 증상이 없는 흡연자에서 흡연이 폐활량측정법 검사지표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없었다. 이에 저자들은 비흡연 성년 한국인에서 폐활량측정법 검사지표들의 추정정상치 산출공식을 구하고 호흡기 증상이 없는 흡연 남자 성인에서 과거 흡연량이 폐활량측정법 검사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 1990년 6월부터 1991년 12월까지 서울중앙병원 종합건강진단센터를 방문한 19,945명중, 호흡기 증상 및 호흡기질환력이 없고 흉부방사선촬영소견이 정상인 18세이상의 비흡연 여자 763명, 비흡연남자 308명과 흡연남자 353명을 대상으로 노력성 호기곡선을 이용한 폐활량측정법검사를 실시하였다. 폐활량측정법은 dry rolling seal 방식의 System 2130(Sensor Medics, USA)을 이용하여 미국 흉부학회 기준에 의거하여 실시하였으며, 성별에 따라 피검자의 연령, 신장 및 체중으로부터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폐활량측정법의 추정정상치 산출공석을 구하였고 흡연의 영향은 흡연량에 따라 10 pack-years 이상 84명, 10~20 pack-years 191명, 20 pack-years이상 108명 세군으로 나누어 각각을 가변수(dummy variable)로 처리한 후, 비흡연 남자군을 포함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하여 p-value로써 평가하였다. 결과: 1) 주요 폐활량측정법 검사지표들의 연령, 신장 및 체중으로부터 구한 추정정상치 산출 공식은 Table 8, 9와 같다. 2) 폐활량측정법 검사지표들에 대한 흡연의 영향을 흡연남성군의 과거 흡연량에 따라 조사한 결과 10 pack-years 미만의 흡연은 영향이 없었고, 10~20 pack-years는 $FEV_1$/FVC와 $FEF_{25{\sim}75%}$에, 20 pack-years 이상의 흡연은 $FEV_1$$FEV_1$/FVC에 대해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1) 비흡연 성년 한국인에서 피검자들의 연령, 신장 및 체중으로부터 노력성호기곡선을 이용한 폐활량측정법 검사지표들의 추정정상치를 산출하는 회귀방정식을 구하였다. 2) 남녀 모두 연령과는 역상관관계를, 신장과는 정상관관계를 보였고 체중과도 상관관계를 보이는 검사지표도 있었으며, 특히 $FEV_1$/FVC(%)는 신장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체중과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3) 본 연구에서 산출한 회귀방정식에 본대상군의 평균연령과 신장을 대입한 FVC 및 $FEV_1$의 추정정상치가 서양인에서의 공식에 대입한 경우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4) 폐활량측정법 검사지표에 대한 흡연의 영향을 무증상 흡연 남성군의 흡연력에 따라 분류조사한 결과 10 pack-year 미만의 흡연은 영향이 없었고, 10~20 pack-year의 흡연은 $FEV_1$/FVC 및 $FEF_{25{\sim}75%}$, $FEF_{25%}$, $FEF_{75%}$에 대해, 20 pack-year 이상의 흡연은 $FEV_1$$FEV_1/FEV$에 대해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5) 신장의 영향을 보정한 $FEV_1$($FEV_1$/height)은 남성 흡연군에서 연령에 따른 상기지표의 감소율이 남성 비흡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01).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