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mical Composition of Precipitation in Suwon Area and Its Effect on Crop Development

수원지역(水原地域) 강우(降雨)의 성분조성(成分組成)과 작물(作物)에 미치는 영향(影響)

  • 이종식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
  • 김복영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
  • 우기대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 Published : 1994.04.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potential injury to crops which were exposed to precipitation. The rainwater were collected from May to September in 1992 and analyzed its chemical composition. The amounts of chlorophyll and cations in plant were measured, and the morphological structure of epidermis was also investigated by SE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H of precipitation in Suwon was relatively high even with high level of $SO_4^{2-}$ and monthly pH at May, June, July, August, and September were 4.65, 5.47, 5.32, 5.44 and 4.80, respectively. 2. The amount of ions in rainwater was in the order of $NH_4^+$, $Ca^{2+}$, $Mg^{2+}$ and $H^+$ for cations, and $SO_4^{2-}$, $NO_3^-$ and $Cl^-$ for anions. 3. pH of rain in less than 5mm of precipitation was higher than that in greater than 5mm of precipitation. 4. The amount of chlorophyll was higher in the plant exposed to rain than that in plant intercepted rain during the early portion of growing season, but at the later period, the trend was shown to be reversed. 5. When the sesame plants were exposed to rain at harvesting stage, they contained less amount of CaO, MgO and $Na_2O$ than those with the interception of rain. 6. Scanning electron microphotographs revealed the shringkage in glandular trichomes in the epidermis of sesame leaves when they were exposed to rain.

자연상태(自然狀態)의 강우조건(降雨條件)에서 작물의 잠재적(潛在的)인 피해여부(被害與否)를 파악하기 위하여 1992년 5월부터 9월까지 수원지역(水原地域)에 내린 강우의 화학적조성과 강우(降雨) 차단구(遮斷區)와 강우(降雨) 무차단구간(無遮斷區間) 작물의 엽록소 및 양이온함량 차이와 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한 작물의 잎표면 조직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원지역의 강우(降雨)는 $SO_4$ 함량에 비해 pH가 높으며, 월별 pH 변화는 5월에 4.65를 나타낸 이후 6, 7, 8월에는 각각 5.47, 5.32, 5.44로 일정한 경향을 보이다 9월에 4.80으로 다시 낮아졌다. 2. 강우중(降雨中) 이온의 함량은 양이온의 경우 $NH_4^+$ > $Ca^{2+}$ > $Na^+$ > $K^+$ > $Mg^{2+}$ > $H^+$ 순(順)이었으며, 음이온의 경우는 $SO_4^{2-}$ > $NO_3^-$ > $Cl^-$ 순(順)이었다. 3. 강우량별 pH의 차이는 초기강우(初期降雨)(5mm 이하)가 그 이후의 강우(降雨)에 비(比)해 pH가 높았다. 4. 참깨잎의 엽록소함량은 초기(初期)에는 강우차단구(降雨遮斷區)에 비해 강우무차단구(降雨無遮斷區)와 석회유처리구(石灰乳處理區)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후기(後期)에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으며, 강우(降雨)를 맞은 두 처리구간에는 석회유처리구(石灰乳處理區)에서 약간 회복되는 경향이었다. 5. 수확기(收穫期)의 참깨 식물체중의 처리별 양이온함량은 강우(降雨) 무차단구(無遮斷區)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K_2O$를 제외한 CaO 및 MgO의 함량이 낮았다. 6. 가시적인 피해는 발견할 수 없었으나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를 이용한 참깨잎의 조직(組織)을 관찰한 결과 강우(降雨) 무차단구(無遮斷區)와 석회유(石灰乳) 처리구(處理區)에서 trichome의 변형(變形)을 발견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