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Mole Drainage on Soybean Growth in Paddy Field(Jeonbug Series, Aeric Halaquepts)

논의 두더지 배수(排水) 효과(效果)와 콩 재배(栽培)

  • Published : 1994.12.30

Abstract

To alter the paddy field to upland, mole drainages were constructed under 30cm of the surface of(Jeon buk silt loam) which is not appropriate for cultivation of upland crops. Intervals of the moles were 50cm, 100cm and 150cm and diverted to upland for soybean cultivation. By construction of the mole drainage, about 75% to 45% of the rainfall was drained and the ground water level was maintained below 40cm. After a year of drainage, the blocky surface was changed to granular or nutty structure which is common in upland fields. Oxidation was progressed to the deep layer because of soil dryness. Soybean yield were increased by 11% to 22% in the mole drained plots, but wet injury was occurred in the nontreated check plot with relatively poor growth status.

배수(排水)가 약간 불량(不良)한 답토양(畓土壤)(전북통(全北統))을 답전윤환하기 위한 기반조성을 위하여 천공시공(穿孔施工) 간격(間隔)을 50cm, 100cm, 150cm로, 천공심도(穿孔深度) 30cm로 시공(施工)한 후에 콩을 재배(栽培)하여 생육(生育)과 토양(土壤)의 특성변화에 관하여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천공시공(穿孔施工)에 의한 배수율(排水率)은 강우(降雨) 1, 2일 경과(經過) 후(後)에 최대(最大) 75%, 최소(最小) 48%까지 유출(流出)시켰으며, 지하수위(地下水位)는 40cm이하(以下)를 유지(維持)하여 목표(目標)의 배수(排水) 능력(能力)을 거의 달성(達成)했다. 2. 천공시공후(穿孔施工後)의 토양구조(土壤構造)는 괴상에서 립상 또는 과립상으로 변하였다. 하층토(下層土)에서는 토양(土壤)의 산화(酸化)와 구열(龜裂)이 발생(發生)했으며, 토양(土壤)의 건조(乾燥)는 충분(充分)하지 않았으나, 투수성(透水性)의 개선(改善)으로 전지화(田地化)의 진행(進行)을 볼수 있었다. 3. 천공시공(穿孔施工) 포장(圃場)에서 재배한 콩은 무처리구보다 11~22% 증수(增收)되었으며, 천공무시공(穿孔無施工) 포장(圃場)에서는 일부습해(一部濕害)로 생육(生育)이 불량(不良)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