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Volume 7 Issue 1
- /
- Pages.45-55
- /
- 1994
- /
- 1225-9608(pISSN)
- /
- 2288-9957(eISSN)
Teachers' Understanding of Environment around Schools and Actual Survey in Prejudical Business in Taegu City
대구지역(大邱地域) 학교주변(學校周邊) 환경(環境)에 대한 교사(敎師)의 인식(認識)과 유해업소(有害業所) 실지조사(實地調査)
- Yang, Myung Sook (Graduate School of Health, Kyungbuk University) ;
- Kim, Sang Soon (Department of Nursing, Kyungbuk University)
- Published : 1994.03.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by analysing all problems related to environment around the school.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examining the problems in controlling the areas required for cleanup with 220 teachers in charging the cleanup duties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n Taegu between June 1 and July 15, 1993 and by actually surveying the prejudical business stores around 72 primary schools between August 10 and September 20, 1993. Although most teachers answered to the questionnaires that it is necessary to cleanup the bad environment around the school, the duties of its cleanup tend not to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matter. The teachers considered that the most prejudical business store around the school is totally the game room, and in such order as comic books' store, liquor selling shop and causing noise and pollution. 57.3% of total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present cleanup movements have resulted in failure mostly because of both supervising authorities' careless promotion and store owners' excessive commercial transactions. The result of actual survey in environmental and sanitary cleanup area around 72 primary schools showed that the greatest number of 1,258 prejudical stores was the video tapes shop, and then in such order as lodgings, and game rooms, while the number of prejudical store by the schools was 17.5 stores per school on the average which showed a various distribution from zero to 77 places. In general, these prejudical stores were mainly located around the schools in Jung-gu and Seo-gu areas.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the more the number of students, the more the number of the prejudical stores. In order to improve the environment around the school, it is necessary to strictly carry out the zoning system relating to the usage of land, to strongly restrict the stores without permit and abnormal stores and to establish the basis asking the city development authorities to go through the environmental evaluation. Moreover, it is absolutely required to make efforts to establish the national right sense of education, and to closely cooperate with the related authorities.
본 연구는 청소년의 건강과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주변환경과 관련된 문제점을 파악하여 교육환경개선에 도움울 주고자 93년 6월 1일부터 7월 15일 사이에 대구시내 초 중등학교 학교정화업무담당교사 275명 중 설문지가 회수된 220명을 대상으로 학교주변한경 정화에 대한 인식과 정화구역 관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동년 8월 10일에서 9월 20일 사이에 국민학교 72개교의 학교주변의 유해업소를 실지조사한 결과를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한 것이다. 설문조사에서 대부분의 교사가 학교주변의 나쁜 환경이 학교교육에 영향을 미치며 환경정화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반면, 학교의 연간계획 중 정화업무의 중요시 정도는 다른 업무보다 비교적 중요시되기 보다는 중요시되지 않는 경우가 더 많았다. 현재 매월 첫째 토요일에 시행되고 있는 환경정화의 날이 적당한지에 대해서는 52.3%가 적당하다고 응답했고 39.5%는 적당치 않다고 응답했으며, 적당치 않은 이유는 행사를 자주 실시해서 형식적이라는 의견과 토요일은 개인적인 계획이 많기 때문이라는 반응이 많았고 횟수는 연 4회 정도로서 오후수영 마친 후가 좋다는 의견이 많았다. 정화담당교사가 생각하는 학교주변업소의 유해한 순위는 전체적으로 전자오락실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만화가게, 주류판매점, 소음, 공해유발업소 등의 순이었다. 지금까지 추진해 온 학교환경정화 사업의 결과에 대해서는 57.3%가 실패했다고 응답했으며 그 이유는 감독기관의 업무 집행 소홀이 60.3%, 업주들의 지나친 상행위가 30.2%를 차지했다. 학교에서 할 수 있는 주변환경 개선의 해결방안에 대해서는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유해업소에 출입하지 않도록 지도하고 건전한 학생 놀이문화를 보급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72개 국민학교 환경위생 정화구역에 대해 실지조사한 결과 발견된 1,258개 유해업소 중 비디오가게가 398새로 가장 많았고, 숙박업소 213개, 전자오락실 193개 순으로 많았으며 학교별 유해 업소수는 1개교당 평균 17.5개로 업소는 0개에서 77개까지 분포가 다양했고 절대정화구역내에는 37개, 상대정화구역 내에는 1.221개가 있었다. 유해업소는 대체로 중구, 서구 소재학교에 밀집해 있었고 학생수가 증가할수록 업소수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학교주변의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토지 이용상 용도구역제(用度區域製)를 엄격히 실시하고 도시개발 시에는 교육환경평가를 거치도록 하는 근거를 마련하는 등의 대책이 강구되어야 하겠다. 이와 함께 국민의 올바른 교육관 정립을 위한 노력과 관련부처간의 긴밀한 협조가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