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pproach to Calibrating a Progression Adjustment Factorat Signalized Intersections - Toward Theory of Background -

신호등(信號燈) 연동화보정계수(連動化補正係數) 산출(算出) 모형(模型)의 개발(開發) - 이론적(理論的) 고찰(考察)을 중심(中心)으로 -

  • 이용재 (중앙대학교 건설대학 토목공학과) ;
  • 최우혁 (중앙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Received : 1994.02.14
  • Published : 1994.05.31

Abstract

The recent study of the delay models have assumed random arrival which has a constant average flow rate throughout the cycle. However, where signals are spaced closely together or form part of progressive system, platoon flows are common and more closely represent reality. In such cases, those results are quite different pattern of estimated delay from that of observed on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1985 HCM takes Progression Adjustment Factor (PAF) into account. In the 1985 HCM, however, it has deficiencies in defining and applying it, such as platoon ratio ($R_p$) and platoon arrival typ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oretically the predictive ability of the individual models concerned through comparing the estimated delay and PAF suggested by NCHRP Report 339, KHCM or USHCM (1985) with the observed obtained by field survey at a signalized intersection.

기존(旣存)의 지체모형(遲滯模型)은 지체(遲滯)의 분석(分析)을 위하여 무작위도착(無作爲到着)(Random Arrival)을 가정(假定)하고 있으므로 가로망상(街路網上)에서 군(群)의 형태를 이루는 교통류(交通流)에 대한 실질지체(實質遲滯)를 정확히 분석(分析)하지 못한다. 이러한 단점(短點)을 보완(補完)하기 위하여 미국(美國) 도로용량편람(道路容量便覽)(HCM)에서는 연동화보정계수(連動化補正係數)(PAF)를 사용하여 보다 정확한 지체(遲滯)의 분석을 시도(試圖)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美國)의 도로용량편람(道路容量便覽)에서 제시(提示)하고 있는 연동화보정계수(連動化補正係數)는 차량군(車輛群)의 도착형태(到着形態), 차량군비(車輛群比) 등에서 많은 문제점(問題點)을 내포(內包)하고 있다. 본(本) 연구(硏究)는 이러한 문제점(問題點)에 대하여 미국(美國) NCHRP 연구결과(硏究結果)를 참고(參考)로 하여 우리나라 실정(實情)에 적용(適用)할 수 있는 교차점(交叉點) 지체모형(遲滯模型)과 연동화(連動化) 분석모형(分析模型)을 제안(提案)하고 기존(旣存)에 제시(提示)된 모형(模型)의 결과(結果)와 비교(比較)함으로서 각 모형(模型)들간의 차이점(差異點)과 예측력(豫測力)을 이론적(理論的)으로 검토(檢討)하여 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