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Analysis of Stand Structure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소나무림(林)의 임분구조(林分構造) 해석(解析)에 관(關)한 연구(硏究)

  • Yun, Jong Wha (College of Forestr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Ju Cheon (College of Forestr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1994.02.07
  • Published : 1994.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interpret the stand structure of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stands in Kangwon province, so as to provide basics information for effective forest management.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Number of trees distribution for each diameter class have left nonsymmetrical in Gosung districts, but symmetrical distribution in Pyungchang districts. 2. Height curve for D.B.H. Distribution becames liner shape in Pyungchang districts that more higher than Gosung districts. 3. Stand volume and number of trees per ha in Pyungchang districts are higher than Gosung districts. 4. D.B.H. growth increments during recent 5 years at large D.B.H. class has much lager than low D.B.H. class. 5. Total growth increments of D.B.H., height and volume in Pyungchang districts are or the higher than Gosung districts overtimes 15 years later.

본 연구는 소나무림(林)의 임분구조(林分構造)를 명확히 해석(解析)하여 실용적인 시업계획(施業計劃)을 세울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강원지방(江原地方)에서 환경과 입지조건이 다른 고성(高城)과 평창(平昌)의 소나무림(林)중 무육간벌(撫育間伐)이 시행되지 않은 2영급 소나무림(林)의 임분구조(林分構造)를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직경급별(直徑級別) 본수분포(本數分布)에서 고성지방(高城地方)은 좌비대칭형(左非對稱形)이여, 평창지방(平昌地方)은 대칭형(對稱形)의 분포(分布)를 하고 있었다. 2. 흉고직경(胸高直徑)에 따른 수고곡선(樹高曲線)은 선형적(線形的)으로 나타났으며 평창지방(平昌地方)이 높았다. 3. 임분재적(林分材積)과 ha당의 본수(本數)는 평창지방(平昌地方)이 높았다. 4. 최근 5개년 간의 흉고직경(胸高直徑) 생장량(生長量)은 직경급(直徑級)이 클수록 크게 나타났다. 5. 흉고직경(胸高直徑)과 수고(樹高) 및 재적(材積)의 총생장량(總生長量)은 15년생 이후부터 평창지방(平昌地方)이 높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학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