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logenetic Study of Ganoderma applanatum and Schizopora paradoxa Basd on 5S rRNA Sequences

5S rRNA 염기서열에 으한 잔나비걸상과 좀구멍버섯의 계통학적 연구

  • Kim, Hak-Hyun (Department of Natural Sciences, and Research Center for Molecular Microbiology) ;
  • Jung, Hack-Sung (Department of Natural Sciences, and Research Center for Molecular Microbiology)
  • 김학현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서울대학교 분자미생물학 연구센터) ;
  • 정학성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서울대학교 분자미생물학 연구센터)
  • Published : 1994.01.01

Abstract

The sequences of the cytoplasmic 5S rRNAs(EMBL accession number X73589 and X73890) from two polupores, Ganoderma applanatum and Schizopora paradoxa, were determined by the direct chemical method for sequencing RNA and compared to the sequences of 9 reported mushrooms. 5S rRNAs of Ganoderma applanatum and Schizopora paradoxa consisted of 118 bases and fit the secondary structure model of the 5S rRNAs of basidiomycetes proposed by Huysmans et al. Based on Kimura’s K_nuc values, the closest fungus to Ganoderma applanatum was Ceratobasidium cornigerum and the one to Schizopora paradoxa was Bjerkandera adusta. When the secondary structures of 5S rRNAs of 11 mushrooms were compared the base substitution occurred at helix regions more than at loop regions. When a phylogenetic tree was constructed using the Neighbor program of the PHYLIP package, it partially discriminated and separated the mushrooms of the Hymenomycetes by the order.

담자균류 균심류의 영지과에 속하는 잔나비걸상(Ganoderma applanatum)과 구멍장이 버섯과에 속하는 좀구멍버섯 (Schizopora paradoxa) 두 종의 5S rRNA 염기서열들을 (EMBL accession mumbers X73589 and X73890) directchemical method로 분석 결정하고 담자균류 균심류와 복균류의 기존에 밝혀진 9종 버섯의 염기서열과 비교하였다. 잔나비걸상과 좀구멍버섯의 5S rRNA는 각각 118개의 염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B형 5S rRNA에 해당하였고 Huysmans 등이 제시한 2차구조의 모델에 들어 맞으며 Walker와 Doolittle이 제시한 제 5 염기서열군에 속하였다. 진화거리를 나타내는 Kimura의 염기치환상수 $K_{nuc}$값에 으하면 잔나비걸상과 가장 가까운 좋은 고약버석과의 Ceratobasidium cornigerum으로서 염기 3개의 차이를 보였으며 좀구멍버섯과 가장 가까운 좋은 구멍장이 보섯과의 줄버섯(Bjerkandera adusta)으로서 염기 두개의 차이를 보였다.11개 5S rRNA의 이차구조를 비교하였을때 염기의 치환은 loop 부분보다는 helix 부분에서 많이 일어났으며, 이는 helix 부분이 loop 부분보다는 진화적으로 덜 보존되어 있고 진화 분지를 형성하는데 보다 많은 영향을 주었음을 시사하였다. Kimura의 two parameter method로 계산된distance matrix를 사용하고 Felsenstein PHYLIP package의 Neighbor program에서 Neighborjpomomg option을 이용하여 계통수를 그렸을 때 균심류의 버섯들은 부분적으로 목별로 구분되었다. 균심류의 민주름버섯목에는 적어도 먹물버섯류(Coprinus radiatus)를 제외한 2개의 계통분지가 있고 주름버섯목에도 2개의 계통 분지가 있으며, 복균류에는 말불버섯(Lycoperdon pyriforme)이 독립된 계통분지를 형성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