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답직파에서 토양수분조건에 따른 벼 품종의 출아특성

Seedling Emergence of Dry-seeded Rice Varieties under Two Soil Moisture Regimes

  • 이변우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학과) ;
  • 명을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학과)
  • 발행 : 1994.08.01

초록

벼 건답직파에서 벼 품종들의 출아·입모 특성과 유아의 신장 특성과의 관계를 검토하고자 국내의 재래종, 육성종 및 샤레벼, 미국 직파재배품종, 이태리 품종 등 98개 품종을 토중 4.5cm에 파종하여 적습과 과습조건하에서 출아율, 입모율, 평균출아일수, 중배축장, 하위절간장, 초엽장, 불완전엽장 등을 조사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적습조건에서 입모율은 9∼92.5%, 평균출아일수는 12∼25일 범위였고, 과습조건에서의 출아율은 0∼90%, 평균출아일수 27∼34일로 양조건 모두 품종간 변이가 매우 컸으며, 대부분의 품종은 과습조건에서 출아율이 낮아지고 출아속도가 늦어졌다. 2. 출아·입모율과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인 형질은 적습조건에서는 중배축장, 초엽장, 불완전엽장이었고, 과습조건에서는 중배축장, 제1, 2절간장, 초엽장, 불완정엽장이었다. 3. 평균발아일수는 중배축장, 초엽장, 불완전엽장과 유의한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4. 표준편회귀분석결과 출아·입모의 품종간 차이에 가장 유의적으로 기여하는 형질은 적습조건에서는 중배축장과 초엽장, 과습조건에서는 중배축장과 제2절간장이었다. 5. 평균출아일수의 품종간 차에 유의적으로 기여하는 형질은 적습조건에서는 중배축장, 불완전엽장으로 회귀계수는 부의 방향이었으며, 제1,2절간장은 정의 방향이었다. 과습조건에서는 중배축장만이 유의적 기여를 하였는데 회귀계수는 부의 방향이었다. 6. 본 실험의 결과로 볼 때 건답직파조건에서 출아율이 높고 출아속도가 빠른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중배축, 초엽 및 불완전엽의 신장이 잘되는 특성의 선발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Investigated were the relationships between plumule elongation characteristics and seedling emergence of 98 varieties including native, improved and red rice varieties of Korea, and varieties from U.S.A., Italy, Japan, etc. under proper and excess soil moisture regimes. Under excess soil moisture condition the seedling emergence and establishment rates were much lower in most of the varieties and the seedling emergence rates were delayed substantially in all varieties employed. The seedling emergence rates were lowest in dwarf and some semi-dwarf varieties showing poor plumule elongation under proper soil moisture condition. The seedling emergence and establishment rat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length of mesocotyl, coleoptile and incomplete leaf under both soil moisture regimes, and with the lower first and second internode length under excess soil moisture condition. Average emergence duration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length of mesocotyl, coleoptile and incomplete leaf under both soil moisture regimes a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first and third lower internode length. Based on the standardized partial regression analysis only the variations of mesocotyl and coleoptile length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varietal difference in seedling establishment rate, and so did the variations of mesocotyl and incomplete leaf length to the varietal differences in emergence speed. In conclusion varieties with greater elongation characteristics of mesocotyl, coleoptile and incomplete leaf are desirable for higher and speedy seedling establishment in dry-direct seeding.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