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ㆍ남부 평야지산 발 형태 및 이화학적 특성의 품종 및 산지간 변이

Varietal and Locational Variation of Grain Quality Components of Rice Produced n Middle and Southern Plain Areas in Korea

  • 발행 : 1994.02.01

초록

주요 미질특성에 대한 품종 및 환경변이정도를 파악하고자 자포니카 5개 품종과 통일형 두 품종을 1989년에 중부평야지인 수원 및 이천과 중서해안간 척지인 남양, 호남평야지인 이리 및 남서해안간척지인 계화에서는 보통기 보비재배로, 영남평야지인 밀양에서는 맥후작 만식으로 재배하여 생산된 쌀의 외관 및 도정특성과 주요 이화학적 특성 및 식미를 비교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쌀 외관 및 도정특성을 비롯하여 쌀의 이화학적 특성, 밥의 물리성 및 식미총평 등 모든 미질특성에서 현저한 품종간 차이를 나타내었고, 산지간변이가 두드러졌던 미질특성은 쌀 외관, 도정특성, 알칼리붕괴도, 단백질함량, K/Mg율, 호화개시온도, 강하점도(breakdown) 및 치반점도(setback)였는데 이들 특성의 산지변이는 전변이의 14~54%에 달하였으며 품종$\times$산지간 교호작용변이가 특히 켰던 미질특성은 식미총평과 응집(consistency) 및 치반점도였다. 2. 벼 품종간 미질특성의 차이는 특히 자포니카와 통일형 품종군간에 현저하였는데 통일형 품종들이 자포니카품종들에 비해 쌀 외관품질 및 도정률이 떨어지고 1.0% 저농도 KOH 용액의 쌀 붕괴도와 아밀로스함량이 약간 낮은 반면 단백질함량과 K/Mg율은 약간 높은 편이었으며 최고점도, 강하점도 및 응집점도가 다소 높은 반면 치반점도는 유의하게 낮았고 식미가 크게 떨어졌다. 식미가 양호했던 자포니카품종들은 단백질함량이 약간 낮으면서 K/Mg을 및 밥의 점성/경도비율이 약간 높은 경향이었다. 3. 현미천립중은 이리산미가 타 지역산미에 비해 두드러지게 무거웠고 수원, 계화 및 밀양산미가 소립인 경향이었으며 정현비율이나 등숙면에서는 밀양산이 가장 떨어졌고 이리나 이천산이 양호하였다. 건전미율은 남양간척지산미가 가장 높았으며 계화간척지산미가 가장 낮았다. 4. 쌀의 아밀로스함량은 계화간척지산미가 타 지역산미에 비해 약 1%가량 낮았고 단백질 함량은 중부지역산미가 남부지역산미에 비해 유의하게 약 1%가량 낮았으며 K/Mg율은 계화 및 이리산미가 가장 낮았던 반면 밀양산미가 가장 높았다. 식미총평은 품종별로 생산지에 따라 상당히 달랐는데 평균적으로 남양산미가 가장 좋았고 다음으로 수원>이리>이천>계화>밀양 순이었다 5. 쌀의 알칼리 붕괴도는 밀양 맥후작산미가 가장 높았고 호남평야지산미가 가장 낮았는데 비해 아밀로그래프의 호화개시온도는 수원과 이리산미가 가장 낮았던 반면 밀양산미가 가장 높았다. 강하점도는 밀양산미가 가장 낮았고 다음이 이천산미가 낮았던데 비해 계화 및 이리산미가 가장 높았으며 치반점도는 이와 정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밥의 점성 /경도비율은 지역간 차이가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남부평야산미가 중부평야산미에 비해 다소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6. 식미와 관련이 있는 쌀 외관품질 및 이화학적 특성을 이용한 주성분 분석에서 전정보의 약 59% 설명이 가능한 제 1 및 제 2 주성분치상의 7개 품종별 6개 산지미의 분포로 보아 품종에 따라서 산지 반응이 달랐는데 대체로 자포니카와 통일형 품종군간 구분과 밀양, 중부평야 및 호남평야의 세 산지간 구분이 가능하였다. 산지내 품종간 미질변이는 남양간척지와 이리산미가 비교적 작았는데 수원산미는 이천과 남양산미의 미질변이를, 계화산미는 이리산미의 미질변이를 거의 포괄하였다.

To understand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varietal and environmental variation on various grain quality components in rice, grain appearance, milling recovery, severa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grain and texture or palatability of cooked rice for milled rice materials of seven cultivars(five japonica & two Tongil-type), produced at six locations of the middle and southern plain area of Korea in 1989, were evaluated and analyzed the obtained data. Highly significant varietal variations were detected in all grain quality components of the rice materials and marked locational variations with about 14-54% portion of total variation were recognized in grain appearance, milling recovery, alkali digestibility, protein content, K /Mg ratio, gelatinization temperature, breakdown and setback viscosities. Variations of variety x location interaction were especially large in overall palatability score of cooked rice and consistency or set- back viscosities of amylograph. Tongil-type cultivars showed poor marketing quality, lower milling recovery, slightly lower alkali digestibility and amylose content, a little higher protein content and K /Mg ratio, relatively higher peak, breakdown and consistency viscosities, significantly lower setback viscosity, and more undesirable palatability of cooked rice compared with japonica rices. The japonica rice varieties possessing good palatability of cooked rice were slightly low in protein content and a little high in K /Mg ratio and stickiness /hardness ratio of cooked rice. Rice 1000-kernel weight was significantly heavier in rice materials produced in Iri lowland compared with other locations. Milling recovery from rough to brown rice and ripening quality were lowest in Milyang late-planted rice while highest in Iri lowland and Gyehwa reclaimed-land rice. Amylose content of milled rice was about 1% lower in Gyehwa rice compared with other locations. Protein content of polished rice was about 1% lower in rice materials of middle plain area than those of southern plain regions. K/Mg ratio of milled rice was lowest in Iri rice while highest in Milyang rice. Alkali digestibility was highest in Milyang rice while lowest in Honam plain rice, but the temperature of gelatinization initiation of rice flour in amylograph was lowest in Suwon and Iri rices while highest in Milyang rice. Breakdown viscosity was lowest in Milyang rice and next lower in Ichon lowland rice while highest in Gyehwa and Iri rices, and setback viscosity was the contrary tendency. The stickiness/hardness ratio of cooked rice was slightly lower in southern-plain rices than in middle-plain ones, and the palatability of cooked rice was best in Namyang reclaimed-land rice and next better with the order of Suwon$\geq$Iri$\geq$Ichon$\geq$Gyehwa$\geq$Milyang rices. The rice materials can be classified genotypically into two ecotypes of japonica and Tongil-type rice groups, and environmentally into three regions of Milyang, middle and Honam lowland by the distribution on the plane of 1st and 2nd principal components contracted from eleven grain quality properties closely associated with palatability of cooked rice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