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duction of Artificial Seeds by Alginate-encapsulation of Rice Somatic Embryos

벼의 수화겔 인공종자 생산

  • 정원중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전공학연구소 생물자원연구그룹) ;
  • 민성란 (대구대학교 과학교육과) ;
  • 송남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전공학연구소 생물자원연구그룹) ;
  • 유장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전공학연구소 생물자원연구그룹)
  • Published : 1994.05.01

Abstract

Somatic embryos derived from cell suspension cultures of rice were singly alginate-encapsulated to be used as artificial seeds. When placed on half strength MS solid medium,73% of the encapsulated somatic embryos were capable of germination Encapsulation per se did not affect the germination frequency of embryos. When incubated by wrapping with moistured non-sterile filter paper, 60% of the encapsulated somatic embryos germinated. However encapsulated zygotic embryos without endosperm showed a high germination frequency regardless of the sterility of the incubation condi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a greater susceptibility of somatic embryos to contaminants is attributed to lower germination frequency of encapsulated somatic embryos in non-sterile conditions.

태백벼의 현탁배양세포주로부터 유도된 체세포배를 낱개로 알진산 캡슐화하여 인공종자화하였다. 인공종자는 1/2 MS 고체배지에서 73%의 발아율을 나타내었으며 알진산 캡슐은 체세포배의 발아율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멸균되지 않은 여과지에서는 발아율이 60%로 낮아졌다. 캡슐화된 진정종자는 무균상태여부에 관계없이 높은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무균상태가 유지되지 않을 때 인공종자 발아율이 낮아지는 것은 체세포배가 진정종자의 접합자배보다 오염을 견디기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