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and Regenerated Production Based on Nitrogen in the southern Part of the Yellow Sea in Late April, 1993.

1993년 4월말 황해 남부 해역의 질소 신생산(新生産)과 재생산(再生産)

  • YANG, SUNG RYULL (Chemical Oceanography Research Division,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KORDI)) ;
  • SHIN, KYOUNG SOON (Biological Oceanography Research Division, KORDI) ;
  • YANG, DONG-BEOM (Chemical Oceanography Research Division,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KORDI))
  • 양성렬 (한국해양연구소 해양화학연구부) ;
  • 신경순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생물 연구부) ;
  • 양동범 (한국해양연구소 해양화학연구부)
  • Published : 1994.09.01

Abstract

Nitrogenous new production and regenerated production were measur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Yellow Sea (Hwanghae) using a stable isotope /SUP 15/N nitrate and ammonia between April 25∼30, 1993. Nitrogen production varied between 155 and 688 mg N m/SUP -2/ d/SUP -1/, which belongs to meso to eutrophic area values. This is equivalent to 881∼3909 mg C m/SUP -2/ d/SUP -1/, assuming the Redfield ratio for C:N of 5.7:1 (by weight). the f0ratio which is the fraction of new production from primary production, varied between 0.12 and 0.26, indicating that 74 to 88% of primary production was supported by the regeneration of nutrients within the euphoric zone. This low f0ratio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ligo- to mesotrophic area. Contrary to the expected, the ambient nutrient concentration was not an important factor for controlling productivity in this area during the study period. The difference in productivity among stations was mainly due to the variations in phytoplankton biomass in different water masses.

황해 남부해역에서 1993년 4월 25일부터 30일까지 안정동위원소인 /SUP 15/N 질 산염과 암모니아를 이용하여 질소 신생산과 재생산을 측정하였다. 질소생산은 155∼ 688 mg N m/SUP -2/d/SUP -1/의 값을 보였는데 이는 중영양 또는 부영양 해역의 특성 이다. 탄소량으로 한산하면 C:N Redfield비 5.7:1을 가정하였을 때 881∼3909 mg C m/SUP -2d/SUP -1/에 해당된다. 기초생산 중 신생산이 차지하는 비율인 f-ratio의 범 위는 0.12∼0.26으로 기초생산의 74∼88%가 수층 내에서 순환되는 암모니아에 의하여 유지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낮은 f-ratio 값은 빈영양 또는 중영양 해역의 특 징이다. 영양염의 농도는 예상했던 바와 달리 이 해역에서 의 조사기간에는 생산성을 조절하는 중요한 요인이 아니었으며, 정점간 생산성의 차이는 수괴에 따른 생물 현존 량의 차이에 주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