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가축번식학회지 (Korean 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 제18권2호
- /
- Pages.87-94
- /
- 1994
- /
- 1226-5284(pISSN)
Whitten 배양액내 인간양수의 첨가가 생쥐 수정란의 체외발달 및 체외신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uman Amniotic Fluid Supplemented to Whitten's Medium on Development and Outgrowth of Mouse Embryo
초록
본 연구는 생쥐 초기배 및 부화후 체외신장에 미치는 인간 양수의 첨가효과를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생쥐 수정란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인간 양수의 적정농도를 확인하고자 기본배양액 (Whitten's medium)에 16주령의 양수 농도를 각각 달리하여 체외배양을 실시한 결과, 20%를 첨가한 구에서 가장 높은 배반포로의 발달율과 부화율을 나타내었으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배발달율이 저하되었다. 포유동물 수정란 체외배양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첨가제인 fetal calf serum (FCS)과 bovine serum albumin(BSA)을 첨가한 구화의 배발달 성적을 비교한 결과, 임신중기 양수를 20% 첨가한 구의 배반포로의 발달율 (92.8%)과 부화율 (75.7%)은 기본배양액에서 배양된 것보다 배반포로의 발달율 (82.8%)과 부화율 (31.3%)은 높았으나 0.3% BSA (90.5%, 70.8%)나 10% FCS 첨가구 (94.3%, 74.3%)와는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임신주령에 따른 양수의 첨가효과를 조사한 결과 20%의 임신말기 양수를 첨가한 구의 배반포로의 발달율 (71.9%)과 부화율 (57.3%)은 20% 임신중기 양수를 첨가한 구보다 낮았으며, 부화후 배의 체외신장은 임신중기 양수와 FCS이 첨가된 구에서는 유기되었으나, 임신말기 양수와 BSA가 첨가된 구에서는 배의 체외신장이 유기되지 않았다. 이상의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임신중기 양수 내에는 배발달 촉진인자와 배의 체외신장을 유기시키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포유동물 배의 체외배양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evelopmental ability of mouse embryo in the presence of human amniotic fluid (hAF), The highest development rate was found in the culture media supplemented with 20% mid-term hAF but this rate was concomitantly reduced with more than 20% hAF. Furthermore, mouse two-cell embryos cultured in 20% mid-term hAF were developed more consistently to the expanded and hatched blastocyst stages compared to those cultured in simple medium.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mbryo development rates were observed among the supplemented effects of 20% mid-term hAF, 0.3% bovine serum albumin (BSA), and 10% fetal calf serum (FCS), Development rates of two-ceiI mouse embryos cultured in 20% full-term hAF were declined compared to 20% mid-term hAF. Outgrowth of hatched blastocysts were observed when the embryos were cultured in medium containing 20% mid-term hAF or 10% FCS. But two-cell mouse embryos cultured in the presence of 20% full-term hAF or O.3% BSA was not observed their outgrowth. The kinetics of outgrowth processes in the presence of hAF were similar to those with 10% FCS. However, embryos with FCS showed a considerably greater extents of trophetodermal cell proliferation and outgrowth. Taken together, these data suggest that mid-term hAF may have a suitability for the mammalian embryos and induce embryonic outgrowth.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