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아의 기질적 특성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조수철 (서울의대 신경정신과학교실(소아 청소년 정신과)) ;
  • 김동현 (서울의대 신경정신과학교실(소아 청소년 정신과)) ;
  • 김자성 (국립정신병원)
  • Cho, Soo-Churl (Department of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Division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Kim, Dong-Hyun (Department of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Division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Kim, Ja-Sung (National Mental Hospital)
  • 발행 : 1993.12.31

초록

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아의 걸음마기의 기질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걸음마기질 평가척도를 사용하여 기타질환 및 대조군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군과 대조군이 차이가 있었던 범주는 ‘활동수준’, ‘주기성’, ‘접근성’, ‘적응성’, ‘반응강도’, ‘주의지속성’, ‘감감역치’였다. 2) 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군 및 기타 질환군이 대조군과 차이가 있었던 범주는 ‘적응성’과 ‘주의지속성’이었다. 3) 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군이 기타 질환군 및 대조군과 차이가 있었던 범주는 ‘활동수준’과 ‘접근성’이었다. 4) 전체점수는 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군 및 기타질환군이 대조군과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5) 걸음마기 기질평가척도를 사용한 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의 판별력은 84.3%였다. 본 연구에서 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는 걸음마기의 기질상 특징적인 모습을 가지고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향후 걸음마기의 기질상의 특성과 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와의 관계에 대한 전향적 연구(prospective study) 및 다른 질환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authors applied Toddler Temperament Scale(TTS) to ADHD patient group, other disease group and normal control group to elucidate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of ADHD patients in their toddler stage. 1) ADHD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ntrol group in 'activity', 'rhythmicity', 'approach', 'adaptability', 'intensity', 'persistence' and 'threshold' categories. 2) ADHD group and other diseas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ntrol group in 'adaptability' and 'persistence' categories. 3) ADHD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ther disease group or control group in 'activity' and 'approach' categories. 4) In total scores of TTS, ADHD group and other diease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rom control group. 5) Classification ratio of TTS for ADHD by discriminant analysis was 84.3%. Above results suggest that the ADHD patients may reveal characteristic traits in their toddler stage Further research should be focused on the development and refinement of assessment tools for the early detection and prevention for ADH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