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ntilatory Dynamics in Bronchiectasis

기관지확장증의 환기역학

  • Kim, Yeon-Ja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Park, Jae-Y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Jung, Tae-H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김연재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재용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태훈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3.10.31

Abstract

Background: Bronchiectasis is a irreversible disease, a lot of cases of which are associated with chronic bronchitis, pulmonary emphysema and bronchial asthma due to chronic recurrent pulmonary infection. Therefore, pulmonary functions in bronchiectasis may also vary with associated diseases or involved segments. Methods: For the evaluation of ventilatory dynamics in bronchiectasis with respect to the pathoanatomic types of bronchiectasis and the degree of dyspnea, a total of 93 cases comprising 45 cases of tubular, 30 saccular and 18 mixed type of bronchiectasis whose clinical diagnosis was confirmed by bronchography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y were also 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with Hugh-Jones dyspnea grade 1 & 2 (group I) and those with Hugh-Jones dyspnea grade 3 & 4 (group II). Pulmonary functions tested in this study were analyses of curves of forced expiratory volume and flow-volume, and determinations of maximal voluntary ventilation and closing volumes.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vital capacity and parameters reflecting expiratory flow rate except PEF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saccular and mixed type than that in tubular type of bronchiectasis. 2) In saccular and mixed type, the maximal voluntary ventilation tended to decrease while CV/VC tended to increase. 3) As the degree of dyspnea became serious, the involved segments were progressively increased. In contrast, ventilatory function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proportion to the severity of dyspnea.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bronchiectasis, there be obstructive ventilatory impairment combined with mild restrictive ventilatory impairment, which becomes more prominent in saccular and mixed type and also as the degree of dyspnea progresses.

연구배경 : 기관지 확장증은 비가역적 병변으로 만성적이고 반복적인 폐기관지의 감염으로 인하여 많은 예에서 만성기관지염, 폐기종 및 기관지천식등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들에서의 폐기능도 동반되는 질환이나 침범범위등에 따라서 다양하리라 생각이 되어 기관지 확장증의 병리해부학적 형태의 차이, 그리고 호흡곤란의 정도에 따른 폐기능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방법 : 1985년 1월부터 1991년 12월까지 경북대학병원에서 기관지 조영술사진에 의해 기관지확장증으로 확진된 93예를 대상으로 폐활량, 최대환기량, 노력성호기곡선 및 기류-용량 곡선에서 계측할 수 있는 각종지표와 closing volume을 구하여 기관지조영술상의 낭종형, 원통형 및 혼합형 등의 기관지확장증의 형태 및 Hugh-Jones의 호흡곤란의 정도에 따른 성적을 비교검토 하였다. 결과: 1) 이환된 폐구역수의 평균은 원통형(tubular), 낭종형(saccular) 및 혼합형(mixed) 에서 각각 4.7, 6.9, 7.8개였고 폐활량 및 노력성 호기곡선의 모든 계측치와 PEF를 제외한 호기류속도를 반영하는 계측치는 낭종형 및 혼합형에서 저명하게 감소하였다. 2) MVV는 낭종형 및 혼합형에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CV/VC는 낭종형 및 혼합형에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3) 호흡곤란의 정도가 심할수록 이환된 폐구역수는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폐환기능은 이와 비례하여 저하하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기관지확장증에서의 환기기능은 제한성환기 장애와 폐쇄성환기 장애가 동반되어 있으며 이는 호흡곤란의 정도가 심할수록, 낭종형 및 혼합형일수록 뚜렷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