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Nasal CPAP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폐쇄형 수면무호흡증후군 환자에서 Nasal CPAP의 치료 효과

  • Kim, Chi-H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Kwon, Soon-Seo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Kim, Young-Ky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Kim, Kwan-H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Moon, Hwa-Si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Song, Jeong-Sup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Park, Sung-Ha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김치홍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권순석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영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관형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문화식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송정섭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성학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3.10.31

Abstract

Background: Sleep apnea syndrome is a common disorder which is estimated to affect about 1~4% of adult male population. And if untreated, sleep apnea can cause significant sequelae, such as hypertension, nocturnal cardiac arrhythmia, daytime hypersomnolence, and cognitive impairment. Various kinds of treatment for obstructive sleep apnea (OSA) have been developed. Among them nasal CPAP, first introduced by Sullivan et al in 1981, has received widespread interest and acclaim as a treatment of OSA, and is currently recommended as first-line treatment for OSA. We evaluated the effect of nasal CPAP in OSA and the side effects of nasal CPAP hindering patients from using nasal CPAP. Methods: We performed sleep studies in 20 OSA patients at 2 consecutive nights; baseline night at first day and CPAP night at second day. We compared apnea index, lowest oxygen concentration during apnea, maximal apnea time, and total apnea duration per total sleep time before and after CPAP. We also evaluated the side effects of CPAP with inquiry to the patients. Results: 1) Apnea index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CPAP in 17 out of 20 OSA patients (85%) and increased in 3 patients (15%). 2) Average apnea index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CPAP ($34.1{\pm}18.9/h{\rightarrow}15.4{\pm}10.3/h$, p<0.01). 3) Total apnea duration per total sleep time wa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CPAP ($28.5{\pm}16.0%{\rightarrow}11.9{\pm}9.3%$, p<0.05). 4) The lowest oxygen satuation and maximal apnea time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after CPAP. 5) The most frequent side effect of nasal CPAP was mask discomfort (80%), and the next was drying of nasal passages (65%). Conclusion: Nasal CPAP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OSA. Futher studies should be concentrated on long term follow up of nasal CPAP for its therapeutic effects and the study of methods to enhance patients' compliance.

연구배경 : 수면무호흡증후군은 성인남자의 1~4%에서 발생되는 비교적 흔한 질환으로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시 고혈압, 야간 심부정맥, 주간과다졸음, 인지장애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폐쇄형 수면무호흡증후군에 대한 치료로서 여러가지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는데 그중에서도 1981년 Sullivan 등에 의해 개발된 nasal CPAP이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현재 폐쇄형 수면무호흡증후군의 1차적 치료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국내보고가 미비해 저자들은 폐쇄형 수면무호흡증후군 환자에서의 nasal CPAP의 치료효과와 nasal CPAP 사용에 따르는 문제점을 알아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 하였다. 방법 : 수면검사를 통하여 폐쇄형 수면무호흡증후군이 확인된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nasal CPAP 착용시의 수면검사를 실시하여 수면중의 호흡변화를 관찰하였고, 환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nasal CPAP 착용에 따르는 문제점들을 알아 보았다. 결과: 1) 대상환자중 무호흡지수가 nasal CPAP 전보다 유의한 감소를 보인 환자가 17명(85%) 이었고, nasal CPAP 전보다 오히려 증가한 환자는 3명(15%) 이었다. 2) 대상환자의 평균 무호흡지수는 nasal CPAP 전의 $34.1{\pm}18.9$/시간에서 nasal CPAP 후의 $15.4{\pm}10.3$/시간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p<0.01). 3) 대상환자의 전체 수면시간에 대한 총무호흡시간은 nasal CPAP 전의 $28.5{\pm}16.0%$에서 nasal CPAP의 $11.9{\pm}9.3%$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p<0.05). 4) 대상환자의 최장 무호흡시간과 무호흡중 최저산소포화도는 nasal CPAP 후에 의미 있는 변화가 없었다. 5) nasal CPAP의 부작용으로는 마스크착용에 대한 불편감이 16명(80%)으로 가장 많았고, 비강의 건조함이 13명(65%)으로 나타나 nasal CPAP의 장기적 사용에 있어 해결되어야 할 정도로 지적 되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보아 nasal CPAP이 폐쇄형 수면무호흡의 치료에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장기간의 추적을 통한 nasal CPAP 의 효과와 nasal CPAP의 부작용의 개선을 통한 환자의 순응도 제고에 대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가톨릭 중앙의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