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신마취를 이용한 수술에서 수술부위에 따른 폐기능의 회복

Recovery of Pulmonary Fun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ve Sites after General Anesthesia

  • 김현태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상무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어수택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연태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용훈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춘식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Kim, Hyeon-Ta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
  • Lee, Sang-M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
  • Uh, Soo-Tae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
  • Chung, Yeon-Ta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
  • Kim, Yong-H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
  • Park, Choon-Si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 발행 : 1993.06.30

초록

연구배경 : 전신마취 수술 후 시간 경과에 따른 부위별 폐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고, 수술 후 저산소혈증이나 호흡기계 합병증의 예방을 위한 기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전신마취를 시행하여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흉부 수술 9예, 상복부 수술 21예, 하복부 수술 13예와 말초부 수술 17예를 대상으로 수술전 휴대용 폐기능검사기와 동맥혈가스분석검사를 환자가 가장 안정된 상태에서 실시하고 수술 다음날 동맥혈가스분석검사를 실시하고, 수술후 5일간 휴대용 폐기능검사를 이용하여 폐기능검사를 실시하여 수술전후를 비교하였다. 결과: 1) 흉부 수술의 경우 1초간 노력성호기량및 노력성폐활량은 수술후 5일이 경과하여도 회복되지 않았고, 1초간 노력성호기량/노력성폐활량 비는 변화가 없었으며, 최대호기 유속도 감소되었다. 수술 다음날 동맥혈의 이산화탄소분압이 증가되었다. 2) 상복부 수술시 1초간 노력성호기량, 노력성폐활량, 노력성호기중간유량 및 최대 호기유속은 수술후 5일이 경과하여도 회복되지 않았으며, 수술 다음날의 동맥혈산소분압/산소분율비도 감소하였다. 3) 하복부의 경우 1초간 노력성호기량, 노력성폐활량, 노력성호기중간유량은 수술후 5일에 회복되었으며, 최대호기유속은 수술후 3일에 호전되었다. 수술 다음날의 동맥혈산소분압/산소분율비는 감소되었다. 4) 말초부 수술시 폐기능검사및 동맥혈가스분석검사는 수술 전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전신마취를 이용한 수술에서, 흉부 및 상복부 수술시 1주일이상 호흡기 합병증에 대한 가능성이 있으며, 말초부 수술시에는 수술 다음날부터 폐기능 및 동맥혈가스분석검사의 변화가 없어, 수술 당일의 적절한 호흡관리로 수술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After general anesthesia, decrease of functional residual capacity and lung compliance, ventilation/perfusion imbalance, and transpulmonary shunting can provoke hypoxemia during postoperative periods. Diaphragmatic dysfunction may be the main cause of these physiological abnormalities. Thus, we evaluated the change of pulmonary function after general anesthesia according to the operative sites, which could suggest clinical course and critical period of respiratory care of postoperative patients. Method: Preoperative portable spirometric evaluation and arterial blood gas analysis were performed at sitting or most-sitting position just previous day of surgery. Pulmonary function tests were also as same condition from postoperative day 1 to day 5. Results: 1) For thoracic surgery, FEV1 and FVC were not recovered at day 5, but FEV1/FVC was not decreased. $PaCO_2$ was slightly elevated at postoperative one day. 2) After upper abdominal surgery, postoperative day 5 did not show the recovery of FEV1 and FVC, but mild hypoxemia was developed at postoperative day 1. 3) Pulmonary function was recovered as preoperative value at postoperative day 5 in lower abdominal operation, but mild hypoxemia was also noted at postoperative day 1. 4) Surgery of peripheral areas did not show significant pulmonary function change and hypoxemia and hypercapnia from postoperative day 1. Conclusion: Surgery involving diaphragm provoke significant postoperative pulmonary function change after day 5. For the operation of peripheral sites adequate respiratory care during operation and postoperative period within 24 hours could prevent patients from respiratory complic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