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지경 오염에 의한 비결핵항산균증의 위발생

Pseudoepidemic of Mycobacteria Other Than Tuberculosis (MOTT) Due to Contaminated Bronchoscope

  • 곽승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세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장중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홍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이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성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원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윤섭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임상병리학교실)
  • Kwak, Seung-Mi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Kim, Se-K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Jang, Joong-Hy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Lee, Hong-Lyeo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Lee, Yi-Hy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Kim, Sung-K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Lee, Won-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Jeong, Yoon-Sup (Department of Clinical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발행 : 1993.02.28

초록

연구배경 : Ikeda에 의해 임상에 도입된 굴곡성 기관지경은 각종 폐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시술 증례도 증가하고 있으나 외국에서는 결핵균, 비결핵항산균 및 여러 세균들에 의한 기관지경의 교차오염예가 다수 보고되고 있으므로 기관지경의 세척과 소독방법에 대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방법 : 1991년 11월부터 1992년 5월 까지 기관지내시경을 시행한 예중에서 기관지세척액에서 비결핵항산균이 배양된 예들을 분석하고 본원에서 화학살균제로 사용하고 있는 2% alkaline glutaraldehyde의 살균작용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실내에서 2% alkaline glutaraldehyde와 비결핵항산균 및 세균을 접촉시킨후 균의 사멸 여부를 알아 보았다. 결과 : 2% glutaraldehyde 소독제 용액에 비결핵항산균은 2% glutaraldehyde 1:1 용액으로 30분간 접촉한 후 균이 자라지 않았으며 그 밖의 세균들은 접촉 바로 후에 자라지 않았다. 위발생 인지후 철저한 기계적 세척과 함께 세척기내에서 30분이상 2% glutaraldehyde에 담가둔 이후로는 위양성이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 기관지경 사용후 기계적 세척을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하며 2% glutaraldehyde 용액으로 소독시 비결핵항산균의 소멸을 기대하려면 적어도 30분 이상 접촉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감염조절 방법을 엄격하게 적용한다 하더라도 오염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비병원균으로 알려진 균들이 비통상적으로 갑자가 높은율로 검출되면 위발생을 생각하여야 한다.

Background: The development of the flexible fiberoptic broncoscope by Ikeda was an important technologic advance i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atients with pulmonary disease. But, cross contamination related to fiberoptic bronchoscope was reported in cases involving tubercle bacilli, MOTT and other agents. Therefore, cleaning and disinfecting of fiberoptic bronchoscope requires careful attention. Methods: From September 1991 to May 1992, medical records of all patients with positive culture for MOTT in bronchial washing specimens were reviewed. Also to evaluate bactericidal effect of 2% glutaraldehyde, culture was performed after inoculum of MOTT, Serratia marsescens and Pseudomonas aeruginosa to the disinfectant solution. Results: In 2% alkaline glutaraldehyde, MOTT was not survived only after 30 minute exposure, but P. aeruginosa and S. marsescens were rapidly inactivated with no survivors after exposure to 2% glutaraldehyde. Since vigorous mechanical cleansing and more than 30 minute of contact time within washing machine, no more outbreak was observed. Conclusions: It is also very important that bronchoscopes must be meticulously cleaned after each procedure and more than 30 minute exposure would be required for eradication of MOTT with 2% glutaraldehyde. However even the most strictly applied infection control measures cannot exclude contamination completly and clinicians have to stay alert to this possibility. Prompt detection of pseudoepidemics is possible if abrupt increase in isolation rates, especially if they involve unusual or generally nonpathogenic organisms, are readily recogniz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