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CITRIC ACID TREATED ROOT SURFACES ON THE ATTACHMENT AND PROLIFERATION OF PERIDONTAL LIGAMENT CELLS

치근면 구연산 도포가 치주인대세포의 부착과 전개에 미치는 영향

  • Lee, Sang-Gu (Dept. of Periodontology,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Suh, Jo-Young (Dept. of Periodontology,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Park, Joon-Bong (Dept. of Periodontology,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이상구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 서조영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 박준봉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Published : 1993.04.30

Abstract

This in vitro study was undertaken to observe whether citric acid application aids the attachment and proliferation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to the root surfaces of periodontally diseased teeth. The roots were prepared so that the comparison could be made among the control healthy root surface, citric acid demineralized and non-demineralized root planted surfaces. Prior to the cell attachment experiment, each groups were prepared for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EM) examinations of root surface morphology, All specimens were fixed with phosphate buffered glutaraldehydes, postfixed with phosphate buffered osmium tetraoxide and stained with phosphate buffered tannic acid. dehydrated in ethanol, critical point dried, sputter coated with gold and examined under the SEM. In the cell attachement experiment, human cultured periodontal ligament cells at concentration to $4.5{\times}\;10^4\;cells/ml$ were seeded in each culture well which contained prepared roots and incubated for 30min 1, 2, 6, 12 and 24 hours at 37, 5% $CO_2$air incubator. Than the specimens were prepared for SEM examination using, the same methods as described above. In the cell proliferation experiment, $5{\times}\;10^4\;cells/ml$ cells were seeded incubated with the specimens for 6 hours. Then, all of the specimens were moved into fresh culture well and incubated for 24, 48, and 72 hours. The cell counting was done after trypsinization, under light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When viewed the surface morphology prior to the cell attachment, the non acid treated root planed surface displayed scaling striation and occasional bacteria and calculus. The citric acid treated specimens displayed little debris on the surface and funnel shaped orifices of dentinal tubules. There were no apparent differences in the morphology of cells attached to the control and experiment groups. However, in initial attachement, there was a slight more enhanced appearance in attachment in citric acid treated groups than other root surfaces. After 6 hours of incubation, most of the cells initiated the alteration of cell morphology from ovoid to spindle shapes. After 24 hours of incubation, most of the cells displayed proliferated appearance and connected with each other via numerous processes. In the cell proliferation experimen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d number of cells in citic acid treated groups than other groups.

정상치아와 이환치아 및 구연산에 의하여 탈회한 치근면에대한 치주인대세포의 부착상태를 비교관찰 하기 위하여 정상치아와 이환치아를 취하여 정상군, 이환치근의 치근면활택술군 및 구연산처리군으로 분류하고 시험관적 실험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세포부착실험전 각 군의 치근면의 형태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사람의 정상소구치에서부터 얻어진 치주인대세포를 배야하여 각 군의 절편을 함유한 조직배양기에 ml당 $4.5{\times}\;10^4$개의 세포를 가진 배양액 1ml씩을 넣고 동일조건하에서 30분, 1시간, 2시간, 6시간, 12시간 및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의 부착이 일어난 후 상태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고, 세포증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절편에 $5{\times}10^4$개의 세포가 함유된 배양액 1ml씩을 넣고 6시간동안 배양 후, 새 배양기에 옮기고 24, 48, 72시간동안 배양하여 trypsin 처리로 세포를 분리시킨 후 광학위상차 현미경을 이용, 치근단위면적당 증식된 세포수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세포부착실험전 각 군의 치근면 형태를 관찰하였을 때 구연산처리군에서는 교원섬유의 노출부위라고 여겨지는 미세한 돌출구조들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상아세관의 노출부위라고 여겨지는 함몰양상이 치근활택술군에 비하여 현저하였고 정상치아군에서는 이러한 양상을 관찰할 수 없었다. 실험 각 군 및 대조군 사이에서 세포들의 형태적인 차이점은 분명하지 않았으나 구연산처리군에서 다른 군들보다 초기의 세포부착양상이 다소 빠르게 진행 됨이 관찰되었다. 세포배양 개시 후 6시간이 경과 한 후에는 모든 군에서 공히 세포의 형태가 초기의 구형의 형태에서 편평한 세포의 형태로 변화되기 시작함이 관찰 되었고 24시간 이후에는 모든 군에서 세포들이 치근면에 납작하게 부착되고 일반적인 섬 유아세포의 형태로 변화되어 셰포의 전개가 완성된 양상이 보였다. 세포증식율의 실험에서는 24시간 후 증식된 세포 수는 치근면활택술군에서 가장높게 나타났으며 정상군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48시간 및 72시간후 측정에서는 구연산처리군이 다른 군들에 비해 더 많은 수의 세포증식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각 군간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