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의 여포상 종양의 흡인세포학적 소견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of Follicular Neoplasm of the Thyroid

  • 조경자 (원자력병원 해부병리과) ;
  • 장자준 (원자력병원 해부병리과)
  • Cho, Kyung-Ja (Department of Anatomic Pathology,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 Jang, Ja-June (Department of Anatomic Pathology,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발행 : 1993.12.30

초록

갑상선의 세침흡인 세포학적 검사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점은 여포상 종양의 진단이다. 세포학적 소견만으로는 증식성 결절성 갑상선종, 여포성 선종 및 분화가 잘 된 여포상 암종 간의 감별 진단이 매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저자들은 최근 4년 5개월 간에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여포상 종양 중 수술 전에 적합한 세포학적 검사가 시행된 15예를 대상으로 그 세포학적 소견을 재검토하였다. 여포상 선종 6예의 흡인 도말은 공 모양 또는 합포체를 형성하는 다량의 여포성 세포를 함유하고 있었고, 경도의 핵 다형성 및 작은 핵소체가 각각 2예에서 관찰되었다. 배경은 출혈성으로 교질 성분은 매우 적거나 없었다. 여포상 암종 9예도 기본적으로 선종과 유사한 세포학적 소견을 보였는데, 세포밀도가 좀더 높고, 세포집단의 모양이 더 크고 불규칙하였으며, 흩어진 개별 종양세포가 많은 것이 차이점이었다. 핵의 다형성 및 눈에 띄는 핵소체가 선종에서 보다 많은 6예 및 5예에서 각각 관찰되었으나 그 정도는 심하지 않았다. 대부분의 암종과 1예의 선종에서 종양세포 집단에 밀착한 혈관 내피세포가 관찰되었다. 전반적으로 여포상 선종 및 암종은 미미한 차이를 보여서 세포학적으로 확실히 구별하기는 어려웠으나, 많은 수의 개별 세포와 종양세포 간에 포착된 혈관내피세포의 존재는 양성보다는 악성을 시사하는 소견으로 생각되었다. 여포상 종양의 세포학에 좀더 관심을 가짐으로써 그 발견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

The major limitation of fine needle aspiration of the thyroid is in the evaluation of follicular tumors. it may be difficult or occasionally, impossible to distinguish on a cytologic basis, between hyperplastic nodular getter, follicular adenoma and well differentiated follicular carcinoma. We reviewed cytologic presentations of 15 histologically confirmed follicular neoplasms of the thyroid. Aspiration smears of 6 follicular adenomas were cell-rich with ball-like or syncytial aggregates of monotonous follicular cells, in contrast to honeycomb-like flat sheets of adenomatous goiter Mild nuclear pleomorphism and a small visible nucleolus were noted in 2 cases, respectively. Nine cases of follicular carcinoma showed very high cellularity, irregularly shaped cell clusters, and numerous isolated tumor cells. Nuclear pleomorphism and visible nucleoli were noted in 6 and 5 cases, respectively. Another characteristic finding, entrapped endothelial cells within the ceil clusters, was noted in 7 carcinomas and 1 adenoma. The background of the smears of all follicular neoplasms was hemorrhagic, with no or scanty colloid. We confirmed that the cytologic features of follicular adenoma and carcinoma were similar in general, with subtle differences in cell morphology, but the presence of isolated tumor cells and entrapped endothelial cells was suggestive of malignanc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