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全南) 모후산지역(母后山地域) 굴참나무천연림(天然林)과 현사시나무인공림(人工林)의 물질생산(物質生産)에 관(關)한 연구(硏究)

Biomass and Net Production of a Natural Quercus variabilis Forest and a Populus alba × P. glandulosa Plantation at Mt. Mohu Area in Chonnam

  • 최영철 (순천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박인협 (순천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투고 : 1993.03.30
  • 발행 : 1993.06.30

초록

임령(林齡) 및 환경조건(環境條件)이 유사한 굴참나무천연림(天然林)과 현사시나무인공림(人工林)의 물질생산(物質生産)을 조사(調査) 비교(比較)하기 위하여 전라남도(全羅南道) 모후산지역(母后山地域) 순천대학교(順天大學校) 연습림(演習林)에 위치하고 있는 평균(平均) 20년생(年生) 굴참나무천연림(天然林)과 17년생(年生) 현사시나무인공림(人工林)을 대상으로 각각 $20m{\times}30m$ 조사구를 설치하고 10주씩의 표본목을 선정한 후 뿌리를 제외한 지상부(地上部)의 현존량(現存量), 순생산량(純生産量) 등을 조사하였다. 수종별(樹種別), 부위별(部位別) 현존량(現存量) 추정식(推定式)을 유도 검정한 결과 흉고직경(胸高直徑)(D)과 수고(樹高)(H)를 독립변수(獨立變數)로 하는 상대성장식(相對成長式)(logWt=A+BlogD+ClogH)이 흉고직경(胸高直徑)만을 독립변수(獨立變數)로 하는 상대성장식(相對成長式)(logWt=A+BlogD)에 비하여 적합도(適合度)가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분(林分) 전체(全體)의 지상부(地上部) 현존량(現存量)은 현사시나무림이 55,581kg/ha로서 굴참나무림의 31,275kg/ha보다 1.8배 정도 많았다. 부위별(部位別) 현존량(現存量) 구성비(構成比)는 굴참나무림과 현사시나무림 모두 줄기의 목질부(木質部), 가지, 수피(樹皮), 잎의 순(順)으로 높았으나, 굴참나무림의 경우 현사시나무림에 비하여 수피(樹皮), 가지, 잎의 구성비(構成比)는 높은 반면 줄기의 목질부(木質部) 구성비(構成比)는 낮았다. 임분(林分) 전체의 지상부(地上部) 순생산량(純生産量)은 굴참나무림이 4,267kg/ha/yr.이었으며 현사시나무림은 3,903kg/ha/yr.이었다. 부위별(部位別) 순생산량(純生産量) 구성비(構成比)는 굴참나무림의 경우 잎, 줄기의 목질부(木質部), 가지, 수피(樹皮)의 순으로 높았으며 현사시나무림은 줄기의 목질부(木質部), 잎, 가지, 수피(樹皮)의 순이었다. 순동화율(純同化率)은 현사시나무림이 3.376으로서 굴참나무림의 2.121보다 1.6배 정도 높았으며, 잎의 줄기 생산능률(生産能率)의 경우 현사시나무림이 굴참나무림에 비하여 2.4배 정도 높았다. 현사시나무림은 굴참나무림에 비하여 순동화율(純同化率)이 높은 반면 잎의 현존량(現存量)이 적기 때문에 지상부(地上部) 전체 순생산량(純生産量)은 적었으나, 지속적 축적기관(蓄積器官)인 줄기의 목질부 순생산량(純生産量)이 많기 때문에 임분(林分) 현존량(現存量)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A natural Quercus variabilis forest and a Populus alba${\times}$P. glandulosa plantation in Mt. Mohu area were studied to investigate aboveground biomass and net production. A $20m{\times}30m$ quadrat was set up in each stand, and 10 sample trees each of Quercus variabilis and 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 were cut for dimension analysis.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accuracy among three biomass regression models of logWt=A+BlogD, $logWt=A+BlogD^2H$, and logWt=A+BlogD+ClogH, where Wt. D, and H were dry weight, DBH, and height, respectively. Aboveground total biomass of Quercus variabilis stand was 31,275kg/ha, and that of 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 was 55,581kg/ha. In both of Quercus variabilis stand and 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 stand, the proportion of each tree component to abovegound total biomass was high in order of stem wood, branches, stem bark, and leaves. Quercus variabilis stand was higher in the proportion of stem bark, branches and leaves than 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 stand, while the former was lower in that of stem wood than the latter. Aboveground total net production of Quercus variabilis stand was 4,267kg/ha/yr., and that of 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 stand was 3,903kg/ha/yr. The proportion of each tree component to aboveground total net production of Quercus variabilis stand was high in order of leaves, stem wood, branches, and stem bark. That of 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 stand was high in order of stem wood, leaves, branches, and stem bark. Net assimilation rate and efficiency of leaf to produce stem of Quercus variabilis stand were 2.121 and 0.840, respectively. Those of 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 stand were 3.376 and 2.085, respectively. Though Populus alba${\times}$P. glandulosa stand was lower in aboveground total net production than Quercus variabilis stand, the former was higher in aboveground total biomass than the latter. The reason was that Populus alba${\times}$P. glandulosa stand was higher in net production of stem wood of accumulation organs than Quercus variablis stan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