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Silage Quality of Corn Hybrids Produced from Yoju and Ichon Dairy Farms

여주 및 이천지역 낙농목장 옥수수의 생육특성과 사일리지의 품질

  • 김동암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조무환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권찬호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한건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김종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Published : 1993.12.01

Abstract

Although corn (Zea mays L.) hybrids are now widely grown as a silage crop in Korea, but agronomic data and silage quality of the corn hybrids produced from farmer's fields have not been published. Therefore, a research survey assessing forage yield and quality of the corn hybrids was conducted at 8 and 13 dairy farms in 1988 and 1989, respectively. in Yoju and Ichon. Kyeongi Province. In 1988, percent ear bearing plants, plant population, ear/total dry matter ratio. percent dry matter and dry matter yield of corn hybrids were 75.3%, 75,826 plants/ha, 38.3%, 23.8% and 12,661 kg/ha. respectively. compared with corresponding values of 79.5%. 79,981 plants/ha, 41.1%. 20.7% and 16.152 kg/ha in 1989, but 11.9% of rice black streaked dwarf virus (RBSDV) was recorded in 1989. The Flieg's score of corn silage made by dairy farmers ranged from 70 to 100 and averaged 91. The corn silage produced from dairy farms was characterized as a high quality grade. Survey data indicated that late maturing types of corn hybrids with a higher plant population were grown at farmer's fields. As a result, the performances of the corn hybrids produced by farmers were much lower than those of research institutes. Therefore, dairy farmers in the mid-northern regions of Korea should grow more early maturing corn hybrids and use much lower plant population than those of the present.

우리나라에 있어서 사일리지용 옥수수(Zea mays L.)는 널리 재배가 되고 있지만 실제로 농가의 포장에서 옥수수의 사초로서 이용에 관한 연구 보고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기도 여주 및 이천에서 1988년에 8개 농가 1989년에 13개 낙농가를 선정하여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재배 실태를 연구 조사하였다. 1988년에 농가생산 옥수수의 암이삭 착생주율은 75.3%. ha당 재식밀도는 75,826주, 암이삭 비율은 38.3% 그리고 수확시 건물률은 23.8%. ha당 건물수량은 12,661kg이였으며 1989년도의 암이삭 착생주율은 79.5%, ha당 재식밀도는 79.981주. 암이삭비율은 41.1%. 건물률은 20.7%. ha당 건물수량은 16.152kg 였고 흑조위축병 이병률은 11.9%였다. 그러나 농가가 제조한 옥수수 사일리지의 Flieg's score는 70∼100으로 평균은 91이 되어 품질은 우수한 편이었다. 본 연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낙농가는 표준보다 훨씬 높은 재식밀도하에서 만생품종의 옥수수를 재배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 농가 재배 옥수수의 생산성은 시험기관이 재배하는 옥수수의 생산성 보다 낮았다. 따라서 중·북부지방에서는 현재보다 더 조생품종의 옥수수를 재배하여야 하고 옥수수의 재식 밀도도 낮추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