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Different Fertilization Levels and Oversowing on Liveweight Gains of Grazing Cattle in Tall fescue (Festuca arundinacea Schreb.) Dominant Pasture

Tall fescue(Festuca arundinacea Schreb.) 우점초지 시비 및 보파에 의한 방목축의 증체 비교

  • Published : 1993.12.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fertilization levels and oversowing treatment on liveweight gain of glazing cattle, changs of botanical composition, and dry matter(DM) yield in tall fescue dominant mixed pasture during the grazing period. The treatments were T$_1$(low fertilizing; 120-100-100 kg/ha), T$_2$(medium fertilizing; 280-200-200 kg/ha) and T$_3$(medium fertilizing+oversowing). The botanical composition of tail festuce was increased in T$_1$ and that of tall fescue, orchardgrass and pernnial ryegrass in T$_3$ was 30.5%, 23.8% and 24.1%, respectively. The total forage DM yield was the highest in T$_3$, and the average stocking rate (animal unit; AU) per day during the grazing period in T$_1$, T$_2$ and T$_3$ was 2.4 AU. 3.0 Au and 3.3 AU, respectively. The total grazing days (animal unit day; AUD) in T$_3$(664 AUD) was higher than that of T$_1$, and T$_2$.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verage daily liveweight gain per head among the treatments but daily liveweight gain per ha in T$_3$ was higher than that of T$_1$, and T$_2$. The total liveweight gain per ha during the grazing period in T$_1$, T$_2$ and T$_3$ was 601kg. 762kg and 877kg, respectively. The herbage consumption per day per 100kg LW was similer among the treatments but crude protein, P, K and Ca contents in herbage were increased with medium fertilization levels(T$_2$) and with oversowing(T$_3$).

본 시험은 톨 페스큐가 우점된 방목초지에서 소비구(T$_1$; 120-100-100 kg/ha), 보비구(T$_2$: 280-200-240kg) 및 보비+보파구(T$_3$)등 3개 처리에 3원 교잡종 육성우를 이용하여 1991년 4월 16일부터 11월 1일까지 199일 동안 계절별 목초 생산량에 따라 방목두수를 증.감 조절하여 보충사료 급여없이 계속방목 방법으로 수행되었던 바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처리별 식생은 소비구(T$_1$)에서 tall fescue가 60~70% 크게 우점된데 비해 보비구(T$_2$)에서 tall fescue는 40~50% 다소 낮았고 보비+보파구(T$_3$)에서는 tall fescue, orchardgrass, perennial ryegrass등이 각각 30.5%. 23.8%, 21.4%를 나타냈다. 2. ha당 목초 건물수량은 소비구(T$_1$)가 11.952kg인데 비해 보비구(T$_2$) 13,277kg, 보비+보파구(T$_3$) 14,431kg으로 각각 11%. 21% 증수되었다. 3. 처리별 ha당 일평균 방목두수(AU)는 T$_1$이 2.4 AU인데 비해 T$_2$가 3.0 AU, T$_3$가 3.3 AU로 높았으며 어느 처리에서나 봄철에 높은 방목두수를 보였다. 4. 년간 ha당 총 방목일수(animal unit day; AUD) 는 T$_1$이 481 AUD인데 비해 T$_2$가 559 AUD, T$_3$가664 AUD로 각각 24%, 38%의 높은 방목일수를 나타냈다. 5. 년 평균 두당 일당 증체량은 T$_1$이 0.64kg, T$_2$ 0.64kg, T$_3$ 0.68kg으로 처리간 큰 차이는 없었으나 어느 처리에서나 봄철에 높은 증체량을 나타냈다. ha당 1일 평균 증체량은 T$_1$이 3.0kg, T$_2$ 3.8kg, T$_3$4.4kg로 T$_3$가 높은 증체량을 보였다. 6. 연간 총 ha당 증체량은 T$_1$가 601kg인데 비해 T$_2$ 762kg. T$_3$ 877kg으로 각각 27%, 46%의 높은 증체량을 보였다. 7. 방목축 100kg당 1일 목초 채식량은 처리간 큰 차이 없이 4.0~4.5kg 이었으나 어느 처리에서나 여름철에 가장 낮은 채식량을 나타냈다. 8. 처리별 목초내 조성분 함량에서 조단백질은 T$_1$이 다른 처리에 비해 낮은 반면 조섬유 함량은 다소 높게 나타냈다. P, K, Ca 함량 등도 T$_1$에서 다소 낮은 함량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