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f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Huibang Valley in Sobaeksan National Park

소백산 국립공원 희방계곡의 삼림군집구조분석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문리과대학) ;
  • 최송현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
  • 조현서 (진주농림전문대학 임학과)
  • Published : 1993.02.01

Abstract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the forest community of Huibang valley in Sobaeksan National Park, twenty five plots were set up and survey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lassification by DCA community divided 4 groups. The divided groups are Pinus densiflora community, Q. mongolica -P. densiflora community. Q. mongolica-Stewartia koreana-Carpinus laxiflora community, and Q. mongolica- Acer pseudosieboldianum community. In the analysis by ordination, CCA which points out the relationship among the environmental variables, species and plots indicated primary step of secondary succession. The successional trends of both techniques. seem to be from P. densiflora through Q. mongolica, Q. serrate to C. laxiflora(or S. koreana) in canopy layer below an altitude of 800 meters, and from Rhododendron mucronulaltum. Rh. schlippenbachli. Rhus trichocarpa through Styrax obassia. Lindera obtusiloba to Magnolia sieboldii, Corylus sieboldiana in subtree and shrub layer.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tand ordination scores .and soil moisture and soil humus were calculated.

소백산국립공원 희방계곡의 삼림군집구조분석을 위하여 25개소에 조사구(1개 조사구당 500$m^2$면적)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분석과 ordination기법의 일종인 DCA와 CCA를 적용하였다. DCA에 의해 군집은 4개로 분리되었고. 나뉘어진 군집은 소나무군집, 신갈나무-소나무군집, 신갈나무-노각나무-서어나무군집, 신갈나무-당단풍군집이었다. 환경인자와 조사지 및 수종과의 관계를 분석한 CCA에서는 토양환경이 변화되지 않은 2차 천이 초기단계를 나타내었다. 두 기법에 의해 추정된 천이과정에서 교목상층은 해발 800m이하에서 소나무$\longrightarrow$신갈나무, 졸참나무$\longrightarrow$서어나무(노각나무) 순이었고, 교목하층 및 관목층에서는 진달래, 철쭉, 개옻나무$\longrightarrow$쪽동백나무, 생강나무$\longrightarrow$함박꽃나무, 참개암나무 순으로 추정되었다. 환경인자의 ordination분석에서는 천이가 진행될 수록 수분과 유기물의 토양성질들이 양호하여졌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