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dimentary Environments in the Coastal areas of Imja to Nakweol Islands

임자도-낙월도간 해역의 퇴적환경

  • Published : 1993.09.01

Abstract

To investigate the sedimentary environments on the coastal areas of Imja to Nakweol islands which show very complex shorelines and several zonal sand ridges in NE-SW direction, southwestern coast of Korea, a total of forty samples were taken by a grab sampler and sedimentological and micropaleontological studies on those samples were carried out. The present study area are classified into muddy sandy gravel, sand, city sand, sandy silt and silt facies. With statistical moment parameters such as mean, sorting, skewness and ketosis for the sediments in the study area, the sediments are generally categorized as shallow sedimentary facies. The characters that are observed in quartz grains among the sandy sediments of the study area imply the existence of high energy environments, temporal exposures in atmosphere and the mixing of clastic sediments of the several different origins. In the sediments of the study area, one genera belonging to six silicoflagellata species and five genera belonging to five nannoplankton species were detected. On the basis of the micro-organism assemblage, the study area seems to be influenced by active reworking dominantly under warm water masses. In addition, organic matter ad carbonate contents in the sediments did not show a definite relation with the occurrences of the micro-organisms in the study area.

우리 나라 서남해안의 임자도와 낙월도 주변해역은 해안선의 굴복이 매우 복잡하 며 북동-남서 방향으로 대상의 사퇴가 잘 발달되어 있어 이 해역에 분포하는 표층퇴적 물의 특성과 퇴적환경을 규명하기 위해 총 40개소에 걸쳐 채니기 등으로 시료를 채취 하여 퇴적학적 및 미고생물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해역은 퇴적물의 입도 분포상 니질 사 역 퇴적상, 사 퇴적상, 실트질 사 퇴적상, 사질 실트 퇴적상, 실트 퇴적상의 5개 퇴적상으로 분류되었으며, 표층퇴적물의 입도분석 결과 평균입도, 분급도, 왜도 및 첨도 등은 광역적으로 산포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그 입도특성은 일반적으로 천해퇴 적상이 지니는 특징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해역의 퇴적물 중 사질퇴적상을 보이는 부분에서 산출된 석영립들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이들은 대체로 고에 너지 환경에서 생성되었으며 한때는 대기 중에 노출되었을 가능성 등이 시사되며 전체 적으로 연구해역에 분포하는 퇴적물 중에는 다양한 기원의 쇄설성 입자들이 혼재된 것 으로 해석된다. 연구해역에서 산출된 규편모류와 mammoplankton은 각각 1속 6종과 5속 5종이 산출되었는데 이들 미생물 유해들의 군집 분석 결과 연구해역의 퇴적물들은 온 난수괴의 영향아래 퇴적물의 재동현상이 비교적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 다. 또한 유기물 및 탄산염의 함량과는 뚜렷한 상관관계를 설정하기는 어려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