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제32권3호
- /
- Pages.307-316
- /
- 1993
- /
- 1225-0171(pISSN)
- /
- 2287-545X(eISSN)
벼 해충의 분포와 분산의 해석에 있어서 지리정보처리체계의 활용
Use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in Analyzing Large Area Distribution and Dispersal of Rice Insects in South Korea
초록
해충의 발생예찰자료의 분석에 있어서 지리자료처리체계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전국의 152개 병해충 발생예찰소의 해충 발생자료를 이용하여 해충지리적 분포정보를 집적하는 "데이터베이스" 체계를 SPANS(Spatial Analysis Systme)로 구축하였다. 구축된 "지리분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최근 10년간 이화명나방 발생량의 분포변동을 추적한 결과 일반계 품종이 확대 재배되기 시작한 80년대 중반터 고밀도 분포지가 급속히 확산됨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분포의 확산과 수축의 중심은 전북의 이리지역임이 확실하게 나타났다. 별멸구의 초기(7월초) 비래량의 분포를 비래후 온도조건과 결부시켜 후기(9월중)의 벼멸구 발생위험지역을 예측하는 시뮬레이션 모형을 구성하였다. 모형에 의해 추정된 벼멸구 발생위험지역을 예측하는 시뮬레이션 모형을 구성하였다. 모형에 의해 추정된 벼멸구 발생지의 분포도를 1990년 9월의 실재 발생분포도와 비교한 결과 경북 청도지역을 제외하고는 분포양상이 매우 유사하였다. 경사도, 고도, 재배작물 등의 분포도를 추정된 벼멸구 발생도와 함께 투시.분류(Overlay/Modeling)하는 기법을 사용한 결과 서남부지역의 벼멸구 국지적 발생위험지를 구분해 낼 수 있었다.
The potential of using GIS in analyzing pest surveillance data was explored. The Spatial Analysis System (SPANS) was used to construct a spatial data base to study pest distributions using pest surveillance data collected from 152 stations in South Korea. The annual spatIal distributions of the striped rice borer(SRB), Chdo suppressalis, showed that high densities started to expand in the early 1980s, reaching a peak in 1988. The pattern change appears to be related to cultivation of japonica and indica-japonica hybrid varieties in South Korea. Japo7l!ca varieties have longer duration resulting in the SRB haVlng more time to mature and hibernate in wmter. The locus of SRB spread appears to be located in the mid-west region near lri, Chun~ Buk Province. High brown planthopper (BPH) populations in South Korea are often related to the early immigration and temperature. The simulated distribution of PPH densities in September using these two factors was compared with the actual distribution obtained using 1990 data. The two density maps corresponded closely excepL for differences in the south eastern valley. By overlaying the simulated map layer with the elevation and rice area maps, more specific BPH risk zones could be identifi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