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생활아메바의 병원성에 따른 자연살세포의 활성도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in mice infected with free-living amoeba with reference to their pathogenicity

  • 김기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열대의학연구소) ;
  • 신주옥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열대의학연구소) ;
  • 임경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열대의학연구소)
  • Kim, Gi-Hyeok (Department of parasitology and Institute of Tropic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Sin, Ju-Ok (Department of parasitology and Institute of Tropic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Im, Gyeong-Il (Department of parasitology and Institute of Tropic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발행 : 1993.09.01

초록

원발성 아메바성 수막뇌염을 일으키는 병원성 자유생활아메바인 Naegleria fowleri 및 Acanthamoeba culbertsoni를 CSH/HeJ 마우스에 감염시켜 자연살세포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감염 최소량 및 활성도를 최대치가지 이르게 하는 감염 최대량을 결정하여 수막뇌염의 발생여부 및 사망율을 조사하고, 이와 함께 비병원성 자유생활아메바인 Naegleria fowleri를 감염시켜 자연살세포가 활성화되는지 조사하였다 자연살세포 활성도를 병원성 자유생활아메바 감염군과 비교하였으며, 병원성, 비병원성 자유생활아메바 감염군에서의 자연살세포의 세포독성의 변화를 단세포 독성검사법을 이용하여 표적세포 결합능, 활성 자연살세포, 더 나아가 최대 재순환능을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Naegleria fowleri 감염 군에서 자연살세포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감염 최소량인 아메바 영양형 $1{\times}10^4$개 감염 군에서 사망률이 5.9%이었으며 최대량인 $1{\times}10^5$개 영양형 감염군에서는 72.2%이었다. Acnnthamoebn culbertsoni 감염 군에서의 감염 최소량인 아메바 영양형 $1{\times}10^3$개 감염군에서의 사망률은 6.9%이었으며 최대량인 $1{\times}10^5$개 감염군에서는 65.5%이었다. 자연살세포의 세포독성은 병원성 자유생활아메바 감염군 모두에서 감염후 1일째에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감염후 2일과 5일째에는 감소하였고, 아메바 감염량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아메바 감염 군에서의 자연살세포의 활성도의 증가는 표적세포 결합능 및 활성 자연살세포의 증가에 기인한 것이었으며 재순환능에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비병원성 자유생활아메바인 Naegleria fowleri 감염 군에서는 자연살세포의 활성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며 병원성 자유생활아메바 감염 군과는 자연살세포의 세포독성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observation was to investigate the natural killer cell activities in mice Infected with pathogenic free-living amoeba, Naegleria fowleri and Acanthomoeba culbertsoni according to the infection doses, and infected with non-pathogenic free-living amoeba, Naegleria fowleri. The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was examined by means of target binding capacity, active NK cell and maximum recycling capacity of the mice after inoculating free-living amoebae with low and high doses. The mice infected with 1 103, 1 105 A. culbertsoni trophozoites showed mortality rates of 6.9% and 65.5%, respectively. The mice infected with 1 104, 1 105 N.fowleri trophozoites showed mortality rates of 5.9% and 72.2%, respectively. The NK cell activities in all experimental groups increased significantly on day 1 after infection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nd then remarkably declined thereafter, there was no difference of the cytotoxic activity of the NK cells In mice among inoculation doses of pathogenic free-living amoebae. The target binding capacities of NK cells and percentages of activated NK cells in mice Infected with pathogenic free-living amoebae were slgrlificantly Increased a day after Infection, as compared Uth control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of the maximal recycling capacities of NK cells in all experimental groups as compared Uth control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ytotoxic activity and single cell cytotoxlcity of NK cell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infected with pathogenic free-living amoebae and that infected with non-pathogenic free-living amoeba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