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boiling처리가 미숙보리곡립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rboiling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immature barley kernels

  • 발행 : 1993.12.31

초록

벼의 수확 후 저장손실 또는 도정시 영양성분의 손실 방지수단으로서 인도를 중심으로 한 열대지방에서 널리 행하여지고 있는 parboiling기법을 성숙단계별로 보리곡립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토하였다 성숙단계별 보리곡립의 parboiling시 호화도 측정결과 수분함량이 40% 이상인 출수 후 36일 이전의 보리인 경우에는 40% 이상의 호화도를 보여 parboiling처리시 전분의 호화를 위한 별도의 수침공정은 필요치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출수 후 31일 이후의 보리의 경우에는 parboiling처리에 의해 외관이 크게 변형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리의 유리당 중 환원성당은 parboiling처리에 의해 감소하였으나, 비환원성인 sucrose와 raffinose는 큰 변화가 없었고 maltose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유숙기의 보리로 조제한 parboiled 보리의 도정수율별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및 회분함량은 모두 정백수율이 낮아짐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으며 P, K, Mg, Ca 등 무기원소에 있어서도 같은 경향이었다. 유리당의 경우에도 대부분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maltose의 경우에는 증가 후 다소 감소하였다. 비타민 $B_1$ 함량에 있어서는 도정하기전 보리에서는 건물량으로 $340\;{\mu}g/100\;g$ 정도이었고 정맥수율이 낮아짐에 따라 점차 감소하기는 하지만 도정수율 50%에서도 $260\;{\mu}g/100\;g$을 보여 parboiling 처리에 의해 비타민 $B_1$의 도정시 손실을 크게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arboiling, a popular technology used to protect rice from nutrient loss during milling and to increase the shelf-life of rice, was applied to barley kernels, and its effect on nutrient retention and chemical composition was evaluated. Before 36 days after ear emergence, barley kernels showed water content higher than 40%, and parboiling without presoaking resulted in at least 43% of gelatinization degree. This implies that soaking, an important step of parboiling, is dispensable for barley at milky stage. Parboiling did make little change in the appearance of the kernel after 31 days from ear emergence. Nonreducing sugars such as sucrose and raffinose remained unchanged while reducing sugars of barley was decreased by parboiling, with exception that maltose increased. Pearling led to decrease in crude protein, fat, fiber and minerals of barley sampled and parboiled on 36th day from ear emergence. Free sugars in the parboiled barley also was reduced with increasing pearling rate. Vitamin $B_1$ content of the parboiled barley was $260\;{\mu}g\;per\;100\;g$ as dry basis at 50% pearling rate, compared to $36\;{\mu}g$ for raw barley at same pearling rate. Thus parboiling appeared to be very effective in the retention of vitamin $B_1$ during pearling.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