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 in chemical composition of maturing barley kernels

보리곡립의 성숙중 이화학적 특성변화

  • Published : 1993.12.31

Abstract

Some chem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for barley kernels at different growth stages. Crude fat, crude protein, starch, alcohol-insoluble solids(AIS), and ${\beta}-glucan$ increased until $31{\sim}36\;days$ from ear emergence and thereafter remained relatively constant, whereas ash and crude fiber contents were gradually decreased through the whole period of maturation. As barley kernels became mature, their water contents kept decreasing, and the content of milky stage barley kernel at $31{\sim}36th\;days$ from ear emergence ranged from $40{\sim}50%$. Free sugars including glucose, fructose, sucrose, raffinose, maltose, and kestose were identified in the growing kernels. Glucose, sucrose and kestose decreased with maturation while raffinose slightly increased. Barley kernels on the 43rd day from ear emergence contained 0.62% sucrose, 0.46% raffinose, 0.33% kestose, 0.19% glucose, 0.17% fructose, 0.04% maltose. Analysis of minerals for barley kernels at different growth stages showed that the growing kernels contained K, P, Mg, Ca, Na, Fe, Zn, Mn, Cu in decreasing order. Vitamin $B_1$ content tended to increase with kernel growth, showing maximum value of $350\;{\mu}g\;per\;100\;g$ dry weight on 36th day from ear emergence.

출수 후, 경시별로 보리곡립을 채취하여 이화학적 특성변화를 조사하였다. 보리가 성숙됨에 따라 회분 및 조섬유의 함량은 점차 감소한 반면 조지방, 조단백질, 전분, AIS(알콜 불용성고형물) 및 ${\beta}-glucan$함량 등은 증가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출수 후 $31{\sim}36$일 이후에는 더 이상의 큰 변화는 없었다. 반면 수분함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유숙기인 출수 후 $31{\sim}36$일경에는 $40{\sim}50%$수준이었다. 보리의 유리당은 glucose, fructose, sucrose, raffinose, maltose 및 kestose 등이 존재하였으며 전 성숙 기간을 통하여 maltese의 함량이 가장 낮았다. 이들 유리당 중 glucose, sucrose 및 kestose는 성숙이 진전됨에 따라 점차 감소한 반면 raffinose는 증가경향을 나타내었고 출수 후 43일경에는 건물량으로서 sucrose 0.62%>raffinose 0.46%>kestose 0.33%,>glucose 0.19%>fructose 0.17%,>maltose 0.04%의 순이었다. 보리의 무기원소는 K>P>Mg>Ca>Na>Fe>Zn>Mn>Cu의 순으로 그 함량이 높았으며 성숙이 진행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출수 후 31일 이후에는 더 이상의 큰 변화는 없었다. 비타민 $B_1$ 함량의 경우에도 성숙됨에 따라 점차 증가하지만 출수 후 36일경 건물량으로서 $350\;{\mu}g/100\;g$을 나타낸 뒤 더 이상의 큰 변화는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