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quential Bronchoscopic Findings of Endobronchial Tuberculosis

기관지 결핵의 기관지 내서경적 경과 관찰에 관한 연구

  • Choi, Hyung-Seo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 Tuberculosis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oeng, Ki-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 Tuberculosis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Kye-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 Tuberculosis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Yoo, Chul-G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 Tuberculosis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Young-Wh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 Tuberculosis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an, Sung-K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 Tuberculosis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Keun-Yo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 Tuberculosis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an, Young-Cho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 Tuberculosis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최형석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결핵 연구소) ;
  • 정기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결핵 연구소) ;
  • 이계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결핵 연구소) ;
  • 유철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결핵 연구소) ;
  • 김영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결핵 연구소) ;
  • 한성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결핵 연구소) ;
  • 김건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결핵 연구소) ;
  • 한용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결핵 연구소)
  • Published : 1992.10.31

Abstract

Background: Endobronchial tuberculosis is an important complication of pulmonary tuberculosis. It is highly infetious, difficult to diagnose mimicking bronchogenic carcinoma or bronchial asthma and it can leave bronchial stenosis with parenchymal collapse or bronchiectasis as complications. Early diagnosis, adequate treatment and follow-up are crucial in the management of endobronchial tuberculosis. The most important diagnostic tool in its diagnosis is bronchoscopic examination. Authors have tried to elucidate changes in sequential bronchoscopic findings in these patients to help diagnose and manage these patients. Method: We have analysed the sequential bronchoscopic findings and clinical features of 83 endobronchial tuberculosis patients admitted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August 1987 to December 1990. Results: We can observe the following results: 1) In the actively caseating type, improvement of the bronchial stenosis was observed in 29 patients (76.3%) up to 5 months of treatment. Caseation disappeared in 31 patients (81.6%) during the same period. 2) In the stenotic without fibrosis type, improvement of the stenosis was observed in 8 patients (66.4%) during the same period. 3) In the tumorous type, improvement of the stenosis was observed in 12 patients (92.3%) during the same period. Conclusion: We can conclude that improvement of the endobronchial lesions may occur up to about 5 months after adequate treatment of endobronchial tuberculosis.

연구배경 : 기관지 결핵은 폐 결핵의 중요한 합병증으로 매우 전염성이 높고 진단이 쉽지 않으며 기관지 협착과 폐허탈, 기관지 확장증 등의 합병증을 남길 수 있는 중요한 질환이다. 이 질환의 치료 및 경과 관찰에 있어서는 기관지경에 의한 검사가 가장 중요하다. 저자들은 기관지 결핵 환자에 있어 순차적인 기관지경 검사소견을 분석하여 향후 진단 및 추적관찰에 있어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법 : 1988년 8월부터 1990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 입원하여 기관지경 검사상 기관지 결핵으로 진단받고 치료를 시작하였으며 또한 향후 추적 관찰한 기관지경 검사를, 두번 이상 받은 83예를 대상으로 순차적인 기관지경상 각 병변의 육안 소견의 변화를 관찰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결과 : 1) 건락성 괴사형의 경우 기관지 협착의 소견은 치료 시작후 5개월까지 시행한 기관지경상 76.3%에서 호전된 것이 관찰되었고, 건락성 괴사 병변은 81.6%에서 같은 기간내에 소실되었다. 2) 섬유화가 없는 협착형의 경우 기관지 협착 소견은 기간내에 66.4%에서 호전되는 양상을 보였다. 3) 종괴형 환자군의 경우 기관지 협착의 호전은 같은 기간내에 92.3% 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 이상의 관찰로부터 기관지 결핵의 기관지내 병변은 치료 시작후 5개월이내에 대부분 호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에는 스테로이드와 항결핵제의 병용요법의 효과에 대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서울대학교병원